• 최종편집 2024-03-28(목)
 



image01.png
케테 콜비츠 (1867~1945) 사진출처=SNS(widewalls.ch)


*케테콜비츠의 기록 / 직조공 봉기 사건

예술가는 '저항'보다 '기록'으로 그 시대적 소임을 하는것이 더 큰 역할과 이슈를 남긴다. 그런 면에서 '예술가의 시대정신'은 사람들이 놓치는 것, 잊혀가는 것들을 재발견하는 것에서 그 역할의 비중이 있지않는가 싶다.

쉬운 예로 피카소가 거리에서 돌을 던지며 시위를 하는 것보다 '게르니카'를 그림으로써 한 세기 동안 그 비극이 이슈화 되지 않았던가.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가 카탈루냐 지방의 새들은 '피스 피스하고 운다'라면서 평화를 기원 하는 곡 '새의 노래'를 연주 한것이 더 많이 회자 되었다.

아래 소개할 독일 프롤레타리아 회화의 선구자 이고 여류작가인 '케테 콜비츠'는 말했다.  

“미술에서 아름다움만을 고집하는 것은 삶에 대한 위선이다.” 

“나의 작품행위에는 목적이 있다. 구제받을 길 없는 이들, 상담도 변호도 받을 수 없는 사람들, 정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 시대의 인간들을 위해 나의 예술이 한 가닥 책임과 역할을 담당했으면 한다.“ 

이렇게 그는 예술가로서의 시대 정신을 기록했다.

석판과 부식동판의 기법을 사용하여 4년씩이나 걸린 직조공 봉기 사건의 (1893~1897)연작은 빈곤, 죽음, 회의, 직조공의 행진, 폭동, 결말등 여섯 점의 판화로 이루어진다. 

이 연작을 시작으로, 케테는 평생 가난한 이들과 학대받는 이들과 함께 하는 진보적인 예술가로써의 시대정신을 일깨워 주었다.

그녀는 법관출신의 아버지 밑에서 별 모자람 없이 자랐다.

착실하게 미술수업을 받아온 케테는 24살이 되던 해인 1891년, 의사이자 사회주의자였던 칼 콜비츠와 결혼하고, 이때부터 평생 자신을 이끌게 되는 '민중'들을 자연스레 만나고 그들의 인권과 권리에 관심을 갖게된다.
 


배경
산업혁명이 전 유럽을 휩쓸던  1840년대, 그때까지는 상상도 못했던 경제발전이 시작됐다. 

그 바탕에는 단순노동자들의 희생을 발판으로 이루어진 발전 이었다.

프랑스 혁명은 고대 조세제도의 모순을 개혁하고자 혁명을 했고 또 성공을 했지만새시대는 굶주리고 뼈빠지게 일할 '자유'만을 농민과 노동자에게 주어진 또다른 모순의 시대가 열렸던 것이다.

당시 독일의 직조공들도 그 같은 상황에서 자유로울수 없었다. 

한 공장주였던 사장은 노동자들이 '감자를 살 수 없을 정도로 임금이 적다'는 하소연을 하자 "풀이 잘 자랐는데 그거라도 먹으면 되겠네" 라고 비웃었을 정도로 그들의 권리나 인권이 보장을 받지 못했던 시절 이었다.

이에, 슐레지엔의 직조공들은 곡괭이와 삽자루들을 들고 봉기를 한 것 이었다. 거리로 나선 그들을 기다린것은 공권력의 무자비한 총과 칼이었다.
 
 
image02.png
케테콜비츠 프린트 드로잉 '빈곤'


빈곤
누더기 같은 침대에 누워 죽어가는 아이를 바라보는 어머니와 속수무책일수밖에 없는 아버지. 머리를 감싸고 괴로워하는 어머니의 모습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이의 고통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image03.png
케테콜비츠 프린트 드로잉 '체념'

 

체념
이제 아이는 죽음에 임박한 것 같다. 어두컴컴한 방안에 어머니는 지친 듯 벽에 머리를 기대고 있고, 아버지는 뒷짐을 진 채 모든 걸 체념한 모습으로 망연히 서 있다. 아이는 이미 죽음의 신 해골의 품에 안겨 있다.
 


image04.png
케테콜비츠 프린트 드로잉 '모색'

 


모색
궁핍으로 비참한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은 더 이상 운명만 탓하고 있을 수가 없었다.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고 했던가. 

이제는 행동에 옮겨야 할 때. 사람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그들의 운명에 저항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한다.
 
image05.png
케테콜비츠 프린트 드로잉 '단결'

 

 
단결
그리고 마침내 슐레지엔의 직조공들은 자신들의 생산의 수단이자 무기인 곡괭이와 삽자루들을 들고 힘을 합쳤다. 이 모든 문제를 짊어지고 거리로 나선 것이다.

image06.png
케테콜비츠 프린트 드로잉 '저항'

 

저항
직조공들은 자신을 억압하는 자들의 굳게 닫힌 철문을 향해 돌을 던지고 싸워본다. 공장주들에게 단지 먹을 것을 달라며 일어섰을 뿐인데, 공장주를 보호하려고 출동한 프로이센 보병대는 직조공들에게 먹을 것 대신 총알세례를 퍼부었다. 

대상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다. 무릎에 총상을 입은 여덟살 소년, 머리가 박살난 여성…

 

열 한 명이 목숨을 잃었고 수십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image07.png
케테콜비츠 프린트 드로잉 '실패'

 

실패

결과적으로, 그들의 봉기는 실패했다. 직조공들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가 동원된 데 이어 대량 검거가 시작됐고 마침내 6월 9일, '살아남은' 직조공들은 전방위적인 압박에 못 이겨 직장으로 돌아가게 됐기 때문이다. 


줄지어 집으로 운반되고 있는, 총에 맞아 희생된 봉기자 들의 시신들만이 '한때, 우리는 저항 했었다'는 사실만을 알려준다.


위 케테 콜비츠가 석판으로 남긴 '직조공 봉기'는 70년대 청계 피복노조 사건과 전태일 열사의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


월급 3000원을 받고 일하던 젊은이들이 숨 한번 제대로 쉴 수 없고 허리조차 제대로 펼 수 없었던 다락방에서의 고된 노동. 그들은 쉴 수 있는 권리, 적절한 대우를 주장했건만 무지막지한 탄압으로 일관했던 정부와 자본가 들이었다.

 

image08.png
평화시장 앞에 설치된 전태일의 동상. 사진=이호준 칼럼리스트

글=이호준 문화칼럼리스트

20200519173107_nhaehbts.jpg

전체댓글 0

  • 7367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이호준의 문화ZIP] 예술가의 시대정신이란 무엇인가 –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