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출시된 주요 신용카드 44종의 연회비 평균은 113,225원이었다. 지난해 평균 69,583원에 비해 63% 증가한 수치다.
2023년 상반기 평균 83,453원을 기록한 신용카드 연회비는 하반기 1~2만원대의 카드가 다수 출시되며 2023년 전체 평균 69,583원으로 약 17% 줄어들었다. 하지만 올 상반기, 연회비 10만원 이상의 프리미엄 카드가 다수 출시 및 리뉴얼되면서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올 상반기 연회비 평균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36%, 지난해 전체보다 63% 증가했다.
올 상반기 연회비 10만원 이상의 신용카드를 가장 많이 출시한 곳은 현대카드로, 총 5종을 출시했다. 아멕스 현대카드 시리즈의 리뉴얼, 단종됐던 MX Black의 재출시, 새로운 프리미엄 카드 Summit 등을 선보였다. 하나카드 역시 새로운 프리미엄 브랜드 ‘JADE’를 선보이며 Classic, First Centum, First, Prime 등 총 4종의 프리미엄 카드를 출시했다.
◆ 가장 많은 형태는 ‘적립’, 가장 많이 탑재된 국제브랜드는 ‘비자’
한편 상반기 신규 신용카드 중 가장 많은 혜택 제공 형태는 ‘적립’형으로 전체의 54.5%를 차지했다. 할인형 카드는 보다 적은 19종(43.2%)이 출시됐으며 마일리지형 카드는 1종(2.3%)에 그쳤다. 가장 많이 탑재된 글로벌 브랜드는 ‘비자’로, 올 상반기 출시된 주요 신용카드 26종(59.1%)이 비자 브랜드로 출시됐다. ‘마스터카드’는 20종(45.5%), ‘아멕스’는 13종(29.5%), ‘유니온페이’는 3종(6.8%) 출시됐으며 JCB는 미출시됐다.
고승훈 카드고릴라 대표는 “최근 해외여행 등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고, 프리미엄 카드 라인업도 다양해지며 프리미엄 카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비교적 낮아진 것 같다"며 “카드사 역시 수익성 악화 등의 이슈로 프리미엄 카드 리뉴얼, 신규 출시 등을 통해 수익성을 늘리고 우량 고객을 확보하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BEST 뉴스
-
현대차그룹, '시니어 안전 드라이빙 데이' 운영
장애물 회피, 빗길 제동 등 실제 체험 통한 교통사고 예방 및 효과적 대처 방법 교육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대상으로 올해 5월부터 11월까지 총 20회 운영 예정 현대차그룹, 지난 2016년부터 고령자 교통사고 예방 위한 '베테랑 교실' 진행 "교통안전에 대한 관심과 노력 이어갈 수 있도... -
도미노피자, 35주년 혁신 담은 ‘하이프로틴 도우’ 23일 출시
No.1 세계 배달 피자 리더 도미노피자가 한국진출 35주년을 맞아 혁신을 시작한다. 도미노피자는 혁신의 의미를 담은 Mission H 캠페인을 시작하며, L 도우 기준 두 조각으로 달걀 2개분의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는 ‘하이프로틴 도우’를 오는 23일 출시한다. 도미노피자... -
“만우절 장난이 현실로” 미니 스크류바·미니 죠스바 출시
롯데웰푸드(대표 이창엽)는 자사 대표 빙과 브랜드인 스크류바, 죠스바의 미니 버전을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만우절 장난으로 시작된 아이디어가 예상을 뛰어넘는 성원에 힘입어 실제 출시까지 이어졌다. ‘미니 스크류바’, ‘미니 죠스바’ 제품 사진=롯데웰푸드 제공 ... -
가누다, 10년 연속 ‘2025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수상
기능성 베개 선두주자인 “가누다”가 10년 연속으로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사진=가누다 가누다는 대한물리치료사협회에서 유일하게 공식 추천하는 브랜드이자, 기능성 베개의 시작을 알린 국내 최초의 브랜드이다... -
까르마, ‘2025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대상’ 4년 연속 수상
프리미엄 수면환경 전문 브랜드 '까르마(CALMA)'가 ‘제15회 2025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대상’에서 토퍼 부문 4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사진=까르마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대상’은 조선비즈가 주최하고 조선일보가 후원하는 대표적인 브랜드 시상 행... -
민생회복 지원금, 누가 얼마 받을까?
"대부분 25만 원 받습니다" 정부가 내수 경기 회복을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민생회복 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번 지원금은 기본 15만 원을 전 국민에게 선지급하고, 여기에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35만 원까지 추가 지급하는 방식이다. 일러스트=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