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굿즈로 만난 대통령 기념 시계
앞으로는 대통령 시계를 선물 받은 사람만이 아니라 누구나 손목에 찰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서명한 디지털 시계 배경화면이 6월 중순부터 일반에 공개됐다.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를 사용하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손쉽게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대통령실은 지난 12일 “국민과 함께 만드는 디지털 기념품, ‘대통령 디지털 굿즈’를 공식 배포한다”고 밝혔다.
첫 번째 굿즈는 스마트폰·스마트워치용 배경화면 파일이었다.
이 배경화면에는 대통령 휘장과 이재명 대통령의 서명, 자필 메시지, 미공개 취임식 사진, G7 정상회의 등 주요 외교 무대 사진 등이 담길 예정이다.
이번 굿즈 배포는 이재명 대통령 SNS에 올라온 댓글 하나에서 시작됐다.
“대통령 시계를 국민도 함께 쓰고 싶다”는 요청이 대통령실의 눈에 띄었고, 이를 열린 소통의 상징으로 기획한 것이 바로 ‘디지털 굿즈’였다.
국민들은 대통령실 공식 SNS 채널을 통해 파일을 자유롭게 내려받을 수 있었고, 추후 개설될 대통령실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다운로드가 가능해질 예정이었다.
대통령실은 앞으로 국가 행사나 기념일 등에 맞춰 새로운 버전의 배경화면을 지속적으로 제작·배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전용 애플리케이션(앱) 개발도 함께 추진됐다.
스마트폰이나 워치에서 굿즈를 더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대통령과 국민이 디지털 공간에서 더욱 가깝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였다.
실물 ‘대통령 기념 시계’도 제작에 들어갔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0일 페이스북을 통해 “의미와 실용성을 모두 담을 수 있는 선물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들은 뒤, 가성비 높은 대통령 시계를 만들 것을 지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김남국 디지털소통비서관은 “디지털 굿즈는 단순한 기념품이 아니라, 국민이 국정에 참여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방식”이라며 “국민 주권이 손안에서 구현되는 시대를 상징하는 시도였다”고 설명했다.
BEST 뉴스
-
민생회복 지원금, 누가 얼마 받을까?
"대부분 25만 원 받습니다" 정부가 내수 경기 회복을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민생회복 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번 지원금은 기본 15만 원을 전 국민에게 선지급하고, 여기에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35만 원까지 추가 지급하는 방식이다. 일러스트=연합뉴스 ... -
“이재명 시계, 이제 누구나 손목에”
앞으로는 대통령 시계를 선물 받은 사람만이 아니라 누구나 손목에 찰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서명한 디지털 시계 배경화면이 6월 중순부터 일반에 공개됐다. 갤럭시워치 시계 배경화면에 적용한 이재명 대통령 시계이미지 사진=위메이크뉴스 ... -
“개소세 혜택, 끝나기 전에”…르노, 6월 신차 계약 40% 증가
“혜택 끝나기 전에 차부터 계약하자더군요. 진짜 이달은 다릅니다.”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르노코리아 플래그십 스토어 ‘르노 성수’. 평일 오후임에도 대기표를 받으려고 줄을 서는 고객들로 북적인다. 한 전시장 관계자는 “6월 들어 상담 고객이 확연히 늘었다”며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이 끝난다는 소식에 차량 계... -
"고가車 타면 뭐하나"…신세계 강남점서 '롤스로이스 민폐주차' 도마 위
서울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지하 주차장에서 고가 차량의 비매너 주차가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신세계 백화점 지하 3층 주차장에 얌체 주차를 한 롤스로이스 차량 사진=독자 제공 23일 제보자 A씨는 강남점 지하 3층 ‘가족 배려 주차구역’에서 롤스로이스 고스트 차량 한 ... -
“물 한잔도 안심 못할 세상, 드러난 ‘신종 유해물질’의 정체”
정수기에서 나오는 맑은 물. 하지만 그 안에는 플라스틱 가루, 소염진통제의 잔여 성분,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이 녹아있을지 모른다. 눈에 보이지도, 맛으로 느껴지지도 않지만, 이 물질들은 우리 몸속에서 천천히 쌓이고 있다. 문제는 이 모든 위험이 ‘법적 사각지대’에 있었다는 점이다. 오염물질로조차 분류되지... -
“환불 거부에 먹튀 폐업까지”… 체육시설 불공정 약관 실태 드러나
헬스장·필라테스·요가 등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국민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업체들이 계약 해지와 환불을 제한하고 법적 책임까지 회피하는 등 소비자에게 불리한 약관을 일방적으로 적용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서울 도봉갑,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