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달리 최근 음주문화는 강요에서 자율로 바뀌었다. 하지만, 국내 대학 신입생의 절반 이상이 잦은 폭음과 강제 음주를 경험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 신입생의 문제 음주 비율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별로 없었다.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추진아 교수팀이 서울 소재 10개 대학 신입생 227명(남 70명, 여 157명)을 대상으로 음주 관련 설문 조사를 수행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대학 신입생의 문제 음주와 그 관련 요인'이라는 조사 결과는 한국임상건강증진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대학 신입생의 잦은 음주나 폭음, 강제 음주 등 문제 음주 비율은 58.6%였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문제 음주율은 각각 64.3%와 56.1%였다. 추 교수팀은 논문에서 “대학 신입생의 문제 음주율은 성인보다 높다”며 “신입생 환영회ㆍMTㆍ동아리 행사 등이 문제 음주율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대학 신입생은 학업ㆍ대학 적응ㆍ친목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술자리에 참석하면서 문제 음주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문제 음주의 형태에 남학생과 여학생 대학생의 차이는 별로 없어 성별은 문제 음주와 별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과거엔 남학생의 문제 음주 비율이 여학생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지만, 여학생의 음주량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문제 음주 비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상태와 양육 행동은 대학 신입생의 문제 음주와 별 연과성이 없었다. 추 교수팀은 논문에서 “문제 음주는 건강과 대인관계의 문제 발생뿐만 아니라 사고ㆍ폭력 등 문제 행동과 연결되기 때문에 대학 신입생 단계에서 문제 음주의 원인을 찾아 이를 지속해서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관계자는 "대학신입생의 음주예방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절주자기효능감'이었다. 절주자기효능감은 고위험 음주상황에서 술을 마시지 않을 수 있는 개인의 자신감을 뜻한다"고 설명헀다.
한편 인천대학교 공연예술학과에 재학중인 한 학생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 수업 진행이 2년째 이어지면서 국내 대학 신입생 환영 오리엔테이션이나 MT가 사실상 금지됐고 이로 인한 음주사고도 없었던 걸로 안다"면서 "삭막한 상상이지만 앞으로도 대학 신입생 환영 행사 등은 패스하는 분위기가 뉴노멀로 자리매김 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이처럼 대학생의 음주문화도 코로나19 전후 상황을 비껴갈 수 없게 됐다. 지난해 식약처가 코로나19 전후 변화한 음주문화에 대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19 이전 술을 마시는 상황은 주로 친목이나 회식이었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혼자 있을 때와 TV나 콘텐츠를 볼때 등이 많아 혼술 트렌드가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한 주류업계 홍보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음주문화가 확연하게 변화했다"며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홈술·혼술 트렌드가 뚜렷해졌고 영업제한으로 인해 단시간에 폭음한 경험이 더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 -
국가AI전략위, ‘AI정부’ 전환 TF 출범…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 주목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이 마비된 사태 이후, 정부가 근본적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 이하 위원회)는 29일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 구성을 공식화했다. 이 TF의 공동 리더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겸 CAIO... -
[단독] 간염 유발 대웅제약 ‘가르시니아’…다이소 외 더 있다
대웅제약이 유통하고 네추럴웨이가 제조한 건강기능식품 ‘가르시니아(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에서 최근 간 기능 이상사례 2건이 보고됐다. 사진=식약처 제공 두 명의 소비자는 각각 급성 간염 증상으로 입원 치료를 받았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