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법 지귀연 부장판사가 최근 법정에서 자신에게 제기된 유흥업소 접대 의혹에 대해 ‘삼겹살과 소맥을 먹은 것뿐’이라며 해명성 발언을 늘어놓은 사실이 알려졌다. 사법권이 행사되는 법정에서 판사가 자기 변명을 늘어놓는 장면은 유례를 찾기 어렵다.
사건의 성격보다 더 충격적인 것은, 그 장소가 국민의 사법권을 집행하는 공적 공간인 법정의 법대였다는 점이다. 법대는 판사의 변명을 위한 연단이 아니다. 판사는 그 자리에 오르기까지 엄정한 기준과 도덕성을 요구받으며, 그 자리에서는 오직 법과 증거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지 판사는 윤리감사관실의 조사 대상임에도, 법대 위에서 자신의 사적 해명을 공개적으로 늘어놓았다. 법정과 법대를 사적으로 사유화한 것이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말실수나 일탈이 아니다. 지 판사는 현재 ‘내란 선동’ 혐의로 기소된 전직 대통령 측근들의 재판을 맡고 있는 인물이다. 이처럼 대한민국 사법의 중대한 판단이 걸린 재판의 책임자가 개인 의혹에 휘말려 법정을 사적 도구처럼 사용하는 것 자체가 심각한 사법 신뢰 훼손이다.
대법원은 지 판사에 대한 징계 절차에 즉각 착수해야 한다. 그의 행위는 범죄 성립 여부와 별개로 공적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한 중대한 사안이다. 이 사안을 사소한 해프닝처럼 넘긴다면 사법부 전체가 국민 신뢰의 무게를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일개 판사의 윤리 논란이 아니다. 공과 사조차 구분하지 못하는 자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존립이 걸린 사건을 맡고 있다는 현실에 국민은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대법원은 이 사안의 엄중함을 직시하고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
사법부의 신뢰는 판사 개인의 명예보다 훨씬 무겁다.
BEST 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한때 활기가 넘쳤던 골목과 시장, 공장지대가 지금은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활력을 잃고 있다. 도심 공동화와 지방소멸의 그림자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으로 스며들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쇠퇴한 지역을 다시 살리는 가장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건물 보수나 미관 개...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정부가 경기 침체와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은 당초 국민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고 내수를 진작시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지원금 소비가 마무리되는 지금, 그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