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동창 귀선이는 연로하신 어머니 위해 쑥인절미를 종종 만들어 온다.
오랜만에 귀선이 부부가 인절미 가지고 통진에 왔다.
통진이 강화와 가까운지라 바다 잠깐 보고 싶다고 한다.
작년 K교수, 강화에 있는 ‘조양방직’이 볼만하다 추천해
바다 대신 ‘조양방직’으로 가기로 했다.
괜찮다. 아니 훌륭하다.
귀선이 ‘폐공장에 예술적인 상상력을 더하니 아름다운 곳이 됐네’라고 연신 되뇌인다.
‘우리 골목상권’에 상상력을 더하면 어떤 작품이 만들어질까?
올해 우리 상권은 홈페이지 구축과 작은 행사를 한다.
서울에서 화가들이 우리 상권 발전을 위해 조언하러 왔다.
열띤 토론(?)을 마치고
이들 역시 바다가 보고 싶다하여
평상시 내가 좋아하는 연미정으로 향했다.
연미정 가는 길은 최근에 개통 되어
철조망을 보면서 한가로이 사방을 즐길수 있는 드라이브 코스이다.
오늘 날씨가 맑아 철조망 너머로 북한땅이 보인다.
하루 빨리 통일이 돼 반대편에 연미정을 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글/사진= 편의점 아재 625(유기호)
♣편의점 아재 625 칼럼은 기존 기사체에서 벗어나 일상 속에서 느낀 점을 자유로운 문체로 독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정부가 경기 침체와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은 당초 국민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고 내수를 진작시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지원금 소비가 마무리되는 지금, 그 정...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한때 활기가 넘쳤던 골목과 시장, 공장지대가 지금은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활력을 잃고 있다. 도심 공동화와 지방소멸의 그림자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으로 스며들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쇠퇴한 지역을 다시 살리는 가장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건물 보수나 미관 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