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진에 들어왔을 때 고1이나, 고2였던 아이들이
벌써 담배, 술살 수 있는 나이,
성년이 되었다.
더러는 대학 진학하고
사내아이들은 군에 갔다.
그 중 몇은 진로를 정하지 못하고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고등학교 때부터 우리 가게 드나들던 여자 아이
가끔 들러 아르바이트 피곤하다 하소연하고 간다.
이 녀석 오늘은
"쌍거풀 수술하면 예뻐질까요? 며칠 후 쌍거풀 수술해요."
"아니 안 예뻐져, 나는 자연스러운게 더 예뻐"
"그럴까요?, 그래도 수술 한 이후 모습이 기대돼요"
들떠 있는 아이에게 더 이상 찬물을 끼얹기 싫어
"지금도 예쁘지만 수술이 잘 돼 더 예뻐졌으면 좋겠다."
소주 몇 병과 담배 챙기며
한톤 높아진 밝은 소리가 들린다
"예쁘게 잘 될 거예요. 안녕히 계세요."
아이야.
나는 지금의 네 모습이 훨씬 예쁠 것 같다.
너는 눈이 크지 않지만 매력적이다.
그러나 쌍거풀 수술 기대해보마.
* 수술 후 눈이 부운 채로 만났다.
녀석 왈 "요즘 쌍거풀 수술이 아니라 시술이예요"라고 한다.
글/사진= 편의점 아재 625(유기호)
♣편의점 아재 625 칼럼은 기존 기사체에서 벗어나 일상 속에서 느낀 점을 자유로운 문체로 독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이상헌의 성공창업백서] 부동산과 창업, ‘공간경제’의 핵심 연결고리가 정답
창업은 흔히 ‘아이템’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공간’에서 완성된다.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부동산이다. 상권 입지, 임대료, 유동인구, 공간 활용 구조 등 부동산 요소가 창업의 생존률을 좌우한다. 그만큼 부동산은 창업의 무대이자 진입장벽이며, 더 나아가 지...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창업 생태계의 리셋이 필요하다
국내 자영업의 위기가 통계로 드러났다. 최근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10명 중 7명이 월 100만원조차 벌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소득 0원’으로 신고한 사업장만 100만 곳을 넘어섰다. 자영업이 한국 경제의 절반을 지탱해 온 기반 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니라 경제 생태계 ...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한때 활기가 넘쳤던 골목과 시장, 공장지대가 지금은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활력을 잃고 있다. 도심 공동화와 지방소멸의 그림자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으로 스며들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쇠퇴한 지역을 다시 살리는 가장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건물 보수나 미관 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