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최소 19명 더… “축소·은폐 전형” 비판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10.03 20:4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KT가 발표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수보다 최소 19명이 더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축소·은폐’ 논란이 커지고 있다. KT가 전수조사했다고 밝혔지만, 실제 피해 발생 시간대와 피해자 확인에서는 큰 차이가 발견됐다.

 

PYH2025091020350001301.jpg
사진=연합뉴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KT와 경찰청 자료를 교차 분석한 결과, 경찰청이 파악한 214명의 피해자 중 19명은 KT 전수조사에서 누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황 의원은 결제 일시, 통신 장소, 피해액 등을 기준으로 교차 검증해 추가 피해자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KT는 8월 6일 동작구에서 10시 5분, 13분, 14시 17분, 50분에 피해가 발생했다고 발표했지만, 경찰 조사에서는 14시 6분에 49만5000원의 피해가 발생한 피해자가 포함돼 있었다. 8월 26일 3시 18분 발생 사례도 KT 조사에서는 누락됐다.


황정아 의원은 “결제 시간이 일부 차이나는 경우에도 금액이 비슷하면 집계에서 제외하는 등 보수적으로 분석했음에도 19명의 추가 피해자가 확인됐다”며 “KT의 고의적 축소·은폐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KT가 피해가 없다고 밝힌 시간대에도 다수 피해자가 발견돼, 추가 ‘불법 기지국 ID’ 존재 가능성도 제기된다. KT는 ARS 조사로 4개의 불법 기지국 ID를 기준으로 피해를 파악했지만, 경찰 조사에서는 피해자가 KT 조사에서 누락된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황정아 의원은 “KT가 조사 방식을 임의로 조정해 피해를 축소·은폐하거나, 추가 불법 기지국 ID를 파악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독과점 사업자인 KT의 반복적 축소·은폐 행위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하며, SKT 사례보다 강력한 영업정지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찰 조사에서 KT가 파악하지 못한 피해자들은 카카오톡·네이버 로그아웃 알림, 인증 문자 등을 통해 피해를 인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 보훈급여 부정수급 47억 신규 적발
  • 김건희 일가 운영 요양원, 노인학대 판정서 공개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최소 19명 더… “축소·은폐 전형” 비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최소 19명 더… “축소·은폐 전형” 비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