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시진핑 ‘빅딜’ 가능성 부상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5.11.25 08:3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내년 중 상호 방문을 검토하며 사실상 ‘셔틀 외교’에 들어갈 조짐을 보이면서, 국제 정세가 큰 변곡점을 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전화 통화 후 “내년 4월 방중”을 공식 발표했고, 시 주석의 답방 초청 사실도 공개했다. 

 

중국이 공식 발표를 내진 않았지만, 트럼프의 발표는 시 주석의 긍정적 반응을 전제로 한 발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IMG_8581.jpeg
부산에서 만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두 정상의 교차 방문은 양국 관계가 일정 수준의 ‘관리 가능 상태’를 유지해야 성사될 수 있다. 내년 11월 미국 중간선거를 앞두고 반중 정서가 커질 가능성, 정책 충돌이 재점화될 변수들이 곳곳에 남아 있지만, 만약 두 차례의 정상회담이 실현된다면 미중 관계의 구조적 재편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것이 외교가의 분석이다. 

 

이는 단순한 양자 관계가 아니라, 글로벌 패권 경쟁의 향배와 국제 정치·경제·안보 환경까지 뒤흔드는 중대 이벤트로 평가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조한 “큰 그림(big picture)” 역시 의미심장하다. 그가 말한 ‘우리’에는 시 주석까지 포함된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며, 이는 기존의 일부 분야 합의를 넘어 더 큰 틀의 거래—즉, 미중 간 ‘빅딜’ 준비 신호라는 분석도 가능하게 한다. 

 

최근 부산 회담을 포함한 양국 정상 간 소통이 펜타닐, 대두, 희토류, 반도체 분야의 실무 합의 진전 속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같은 흐름을 뒷받침한다.


시 주석 역시 “협력하면 함께 이롭고, 싸우면 모두 다친다”며 협력 리스트를 늘리고 문제 리스트를 줄여야 한다고 밝히며 트럼프의 메시지에 화답했다. 이는 양국이 경제·안보·기술 패권 전반에서 갈등을 ‘일괄 교환’ 방식으로 다루려는 신호로 읽힌다.


경제 분야에서는 미·중 무역 협상이 다시 중심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 트럼프가 방중 시점을 언급한 순간부터 전문가들은 “무역전쟁의 연장전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는 관세 문제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원자재·부품 조달, 기술 규제, 자국 기업에 대한 상대국 제재 등 핵심 사안을 한꺼번에 다루는 대형 합의 패키지로 이어질 수 있다.


안보 분야에서도 접점 모색이 이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화 통화에서 시 주석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을 위한 ‘평화 프레임워크’를 공유했고, 시 주석은 “공평·항구·구속력 있는 평화 협정”의 조기 체결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우크라이나·러시아를 향한 복합 메시지로, 미중이 유럽 안보 질서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치려는 흐름으로 해석된다.


중동·남미 등에서의 미중 경쟁도 주요 협상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중동은 미국의 패권 전략과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가 교차하는 핵심 충돌 지대다. 트럼프가 노골적으로 강조해온 ‘핵 군축’ 의제는 실제 협상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지만, 논의 자체가 이뤄진다면 미중 전략 균형에 큰 의미가 된다.


대만·북핵 문제도 두 정상이 필연적으로 다뤄야 하는 핵심 의제다. 중국은 대만 문제에 대해 ‘미국의 침묵 또는 속도 조절’을 원하고, 미국은 남중국해 군사 행동 자제와 북핵 문제에서 실질적 중국 역할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의 안보에도 직결되는 문제다.


트럼프와 시진핑이 내년 중 두 차례 회담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양국 모두 국내 정치적 필요도 깔려 있다. 트럼프는 중간선거를 앞두고 농가·기업의 지지를 얻기 위해 중국의 경제적 협조가 필수적이고, 시진핑은 실업률 증가·부동산 부실·수출 정체 등 경제 위기가 정치적 불안으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미국과의 관계 안정이 필요하다.


다만 구조적 패권 경쟁이라는 근본적 갈등은 사라지지 않았다. 협력이 이뤄진다 해도 충돌의 잠재력은 그대로 남아 있으며, 어설픈 타협은 오히려 지역 긴장을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실제로 일각에서는 “트럼프가 중국의 아시아·태평양 영향력을 묵인하는 방향으로 갈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최근 트럼프가 시진핑과의 통화를 소개하면서 일본의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 그리고 이를 둘러싼 중일 갈등을 일절 언급하지 않은 점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결국 내년 트럼프·시진핑의 상호 방문은 미중 경쟁의 ‘새판’을 여는 중대 분기점이 될 수 있다. 협력이냐 충돌이냐, 또는 관리된 경쟁이냐에 따라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도 크게 달라질 것이기에 한국의 전략적 대응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우미건설, ‘화성 남양뉴타운 우미린 에듀하이’ 28일 견본주택 개관
  • 김치가 이끈 민간외교… 롯데호텔, 각국 대사 초청 ‘김치의 날’ 오찬 성료
  • 롯데웰푸드, ‘식사이론 진국’으로 컵밥 시장 본격 진출
  • LS그룹, ‘안정 속 가속’ 2026년 임원인사… 구동휘 사장 승진
  • 가마로강정, ‘남은강정 레시피 공모전’ 연다
  • 로이스커뮤니케이션, ‘2025 한국PR대상’ 최우수상 선정
  • 한국지역난방공사,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 최고등급 ‘AA’
  • 현대제철, 한전과 손잡고 ‘신규 송전철탑 원자재’ 공급…
  • 한난 'AI×무탄소로 미래 40년 그린다'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 개최
  • 한미글로벌, ‘스마트 인프라 건설’ 테크 포럼 12월 2일 코엑스서 개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트럼프·시진핑 ‘빅딜’ 가능성 부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