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체 없는 슬로건이나 꿈 이야기가 아닙니다”. 박재찬 제2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사무총장이 말했다.
“제주 전기자동차는 현실입니다.”
제주가 2030년까지 모든 자동차를 전기자동차로 대체함에 있어서 오는 3월 6일부터 15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개최되는 제2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가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 사무총장은 지난해 4만 7천명 이라는 기록적인 숫자의 방문객들을 불러들였던 1회 엑스포를 떠올리며 “이번 엑스포에는 8만명 정도가 방문할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는 아시아의 선두주자로서 한국의 전기자동차 산업의 메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작년에는 500대의 전기자동차가 제주에 보급되었습니다. 이는 한국에서 지난해 보급된 전체 전기자동차 수량의 50퍼센트 입니다. 그리고 환경부에서 보조금을 제공하는 전기자동차 전체 수량의 절반가량인 1,500를 제주에 보급 할 계획입니다.”라고 덧붙였다.
박 사무총장은 “많은 사람들이 전기자동차를 구경하러만 오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구매의향을 가지고 옵니다. 이러한 점이 상당히 고무적이죠. 자동차 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직접 보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 전시회의 핵심이 되는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
- 새로운 비즈니스 산업 ‘전기자동차’
- 전기자동차 도민공모 신청접수에는 높은 경쟁률을 보여
- 전기자동차 도민공모 신청접수에는 높은 경쟁률을 보여
작년과 동일하게 이번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서 가장 관심이 쏠리는 부분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최대 2,200만원 의 차량지원 보조금과 가정용 충전장치 무료 설치 혜택이 있는 ‘전기자동차 도민공모 신청접수’이다.
박 사무총장은 “엑스포가 개최함과 동시에 올해 전기자동차 1,500대 보급에 대한 지역주민 공모 프로그램이 진행될 것입니다. 주민들의 참여가 작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더 많은 가정에서 전기자동차를 실제로 보고 체험하기 위해 활발히 참여할 것 같습니다.”고 언급했다.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는 제주도의 ‘2030년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에 있어서 필수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관계자들은 이와 같은 행사를 통해 2030년까지 제주도의 모든 자동차들을 전기자동차로 대체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주도의 모든 전력 공급이 전력이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통해 공급될 수 있기를 소망하고 있다.
“이 엑스포는 장기간에 걸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주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전통적 생활방식과는 확연히 다른 친환경 교통수단(E-mobility)이라는 새로운 생활 방식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엑스포가 제주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다양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박 사무총장은 이번 엑스포에서는 최신 전기자동차 제품들을 전시하고 전기자동차 팬들이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심을 둘 것이라고 전했다. 새로운 제품들 중에는 워렌 버핏이 투자한 BYD Auto 사의 BYD e6 택시, Detroit Electric 사가 로터스자동차에 영감 받아 영국에서 제작한 전기자동차들도 포함되어있다.
르노삼성자동차,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GM코리아, 그리고 국제 기업들로는 중국의 위나(Wina)와 상하이 자동차(SAID), 독일의 BMW, 그리고 일본의 닛산 등 총합 약 70여개의 기업들이 이번 엑스포에 참여할 예정이다.
- 탄소없는 섬 제주, 전기자동차 선도도시를 향한 제주국제전기자동차의 목표
제주도가 2030년까지 전기자동차 선도도시 추진을 향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30만 대가 넘는 기존 도내 자동차들을 전기자동차로 바꾸는 큰 장벽을 남아 있다. 현재 제주 도내의 전체 자동차의 0.7%만이 전기자동차인 상황에서 이와 같은 장벽을 넘기 위해서는 산업 성장이 발맞춰 이뤄져야 한다고 박 사무총장은 말한다. “2030년 저탄소 선도도시를 향한 목표로 볼 때, 단지 몇%의 전기차 점유율만 확보한다 해도 그것이 꼭 작은 수치는 아닙니다. 실제로 전기자동차의 보급 증가율을 보면 2013년에는 160대, 2014년 500대, 그리고 2015년에 1500대로 사실상 증가 폭이 매우 큽니다.” 박 사무총장은 말한다.
박 사무총장은 전기자동차 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민영기업의 점유율이 높아야 한다는 데에 동의하면서도, 제주 대중교통업계에서 전기자동차(전기 버스, 전기 택시 등)를 이용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점 또한 강조하였다. 박 사무총장은 제2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 관심을 가지는 모든 분에게 감사함을 전하는 동시에 이번 기회를 통해 제주도가 전기자동차 산업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는 것을 널리 알리고 싶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박 사무총장은“전기자동차는 제주 지역 사회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새로운 사업입니다. 따라서 제주도에서 100% 전기차만을 위한 엑스포를 개최하는 것은 큰 성과라고 봅니다.”라며 힘주어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김건희 ‘판도라 폰’ 공개되자… 도이치 공범 이준수 추적, 행방 묘연
김건희 여사의 휴대전화 포렌식 자료가 공개되면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숨은 인물’로 지목돼온 56세 이준수 씨의 실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8월12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하고 있다. 사... -
매크로 예매는 불법인데… 티켓베이는 왜 처벌받지 않나
티켓구매 (CG) [연합뉴스TV 제공] 프로야구와 인기 가수 공연 티켓을 자동 프로그램(매크로)으로 대량 예매해 되판 업자들이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경찰은 최근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야구 입장권을 무더기로 예매한 일당을 검거했다. 이들은 초당 수백 회 클릭... -
매출 3억 원 하렉스인포텍, 2조8천억 홈플러스 인수?
국내 대형마트 2위인 홈플러스 인수전에 ‘하렉스인포텍’이라는 낯선 이름이 등장했다. 하지만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3억 원에 불과하고, 직원 수도 20명 남짓한 소규모 비상장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는 2조8천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 계획을 내세우며 홈플러스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 ... -
투썸플레이스-포르쉐 케이크, ‘환불불가’ 논란 확산
투썸플레이스가 글로벌 스포츠카 브랜드 포르쉐와 협업해 출시한 ‘포르쉐 911 케이크’가 환불 및 교환 불가 정책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포르쉐 911 케이크’ 사진=투썸플레이스 제공 10월 한정으로 판매된 이 제품은 포르쉐 911의 디자인을 형상화한 패키지와 케이크 형태... -
‘매우 혼잡’ 대한항공 라운지…아시아나 승객까지 쓴다고?
#. 16일 대한항공 비즈니스석을 타고 인천에서 시드니로 떠난 대한항공 고객은 이날 대한항공 앱에서 2터미널 라운지 혼잡 정도를 검색했다가 깜짝 놀랐다. 2터미널에 있는 3개의 대한항공 라운지가 전부 빨간색으로 표기되며 ‘매우 혼잡’이라고 경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8월 새롭게 연 ... -
삼성화재, 한방병원 100여곳 상대로 ‘무차별 소송’ 논란
서울 서초구 삼성화재 강남사옥 앞이 또다시 항의 현장이 됐다. 지난 23일 대한한방병원협회(한방병협)는 ‘무차별 소송 남발, 삼성화재 규탄 제2차 항의집회’를 열고 “삼성화재 만행, 이재용이 책임져라”, “환자 치료 방해 중단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본사 앞을 에워쌌다. 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