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이 LH의 수도권 공공주택 자산보유실태(2022년말 기준)를 분석한 결과 LH 공공주택 총 취득가액은 44조이며, 주택 1호당 취득가액은 1.2억으로 나타났다.
총 장부가액은 취득가액보다 4.5조가 떨어진 39.5조이며, 주택 1호당 장부가액은 1.1억으로 확인됐다.

자산현황을 토지가격과 건물가격으로 구분하면, 토지는 취득가액과 장부가액이 모두 22조로 동일했다. 반면 건물의 취득가액은 22조였으나 장부가액은 4.5조가 떨어진 39.5조였다.
토지는 장부가액과 취득가액이 동일한 반면 건물의 장부가액은 취득가액보다 떨어진 이유는 건물에 대해 감가상각 등을 적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계속된 감가상각 적용으로 2023년 장부가액은 39.5조보다 더욱 낮아졌을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가격은 수십 년간 꾸준히 상승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주택을 보유하고만 있어도 엄청난 자산증가 효과를 볼 수 있다. LH의 자산평가방식이 얼마나 왜곡을 일으키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공공주택 취득가액과 공시가격을 비교했다.

조사결과 LH 공공주택 총 공시가격은 취득가액보다 8조가(18%) 늘어난 52조로 나타났다. 공공주택 1호당 공시가격은 취득가액보다 0.2억 늘어난 1.4억이며, 평당가격은 취득가액보다 119만원 늘어난 778만원이다. 2024년 공시가격 시세반영률은 정부발표 69%, 경실련 조사결과로 65%이다. 공공주택 공시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볼 때 실제 시세를 반영한다면 공공주택 자산액은 훨씬 더 클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LH 공공주택 취득가액과 2024년 7월 기준으로 파악된 시세를 비교했다. 조사결과 공공주택 시세는 취득가액보다 두 배 이상 오른 93.6조로 추정됐다. 1.2억이던 호당 취득가액은 1.3억이 올라 2.5억이 됐으며, 695만원이던 평당 취득가액은 741만원이 올라 1,400만원이 됐다.
취득가액보다 시세가 2배 이상 올랐다면 2024년 장부가액은 시세의 절반수준에도 한참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세를 반영하여 자산을 평가한다면 만년 적자라는 LH의 재정실태도 전혀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공공주택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상위 10개 지역을 조사했다. 그 결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공공주택의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성남시에는 공공주택 20,850호가 있으며 취득가액은 3조였는데 현재까지 9조가 올라 12조가 됐다.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경기도 고양시 3.9조, 경기도 화성시 3.5조, 경기도 하남시 3.2조, 경기도 남양주시 3.1조, 경기도 용인시 2.4조, 경기도 광명시 2.1조, 서울시 강서구 2조, 경기도 수원시 2조, 서울시 강남구 1.8조 등이다.
공공주택 평당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상위 10개 지역을 조사했다. 평당가격은 현실적인 체감이 어렵기 때문에 18평형 평균가격(평당가격*18)을 구하여 비교했다.
공공주택 평당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서울시 강남구이다. 18평형 기준 1.6억이던 취득가액은 7.2억이 올라 8.8억이 됐다. 다음으로 상승액이 큰 지역을 나열하면 서울시 서초구 5.7억, 서울시 송파구 5.5억, 경기도 성남시 5.1억, 서울시 동작구 4.5억, 서울시 강서구 4.3억, 서울시 강북구 3.6억, 경기도 하남시 3.4억, 경기도 의왕시 3.2억, 경기도 안양시 3억 순이다.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상위 10개 공공주택 단지를 조사했다.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위례 31단지는 취득가액이 3,924억이었는데 현재까지 1.3조가 올라 1조7,389억이 됐다. 취득가액에 비해 자산가치가 4.4배가 된 것이다.
다음으로 자산이 가장 많이 오른 단지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경기도 성남시 백현마을 4단지 1.3조(5.2배), 경기도 성남시 백현마을 3단지 1.3조(5.5배), 서울시 강남구 수서주공 1단지 1조(3.8배), 경기도 성남시 봇들마을 6단지 1조(5.7배), 경기도 성남시 위례 35단지 8,744억(4배), 경기도 광명시 하안 13단지 8,096억(3.9배), 경기도 수원시 휴먼시아 32단지 8.013억(3.6배), 경기도 성남시 하얀마을 주공 6단지 6,845억(4.4배), 경기도 하남시 미사 17단지 6,731억(3배) 순이다.
공공주택 단지별로 평당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10개 단지를 분석했다. 평당가격으로는 얼마나 가격이 올랐는지 체감하기 어려우므로 18평형으로 환산하여 표기했다. 18평형 기준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단지는 경기 성남 봇들마을 6단지이다. 1채당 취득가액이 1.4억이었는데 현재 시세는 8.7억이 오른 10.1억이다. 취득가액보다 무려 7.1배가 된 것이다.
다음으로 가격이 많이 오른 단지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경기 성남 백현마을 3단지 8.7억(6.9배), 경기 성남 위례 31단지 8.6억(5.5배), 경기 성남 봇들마을 5단지 8.4억(7.2배), 경기 성남 백현마을 4단지 7.5억(6.5배), 서울 강남 수서주공 1단지 7.5억(4.8배), 서울 강남 에버시움 7.3억(6.6배), 서울 강남 에버시움 7.2억(6.1배), 서울 강남 자곡힐스테이트 6.8억(5배), 경기 성남 청솔마을주공 6단지 6.8억(5.4배) 순이다.

경실련 측은 "LH의 공공주택 자산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는다면 LH의 적자논리는 계속될 것이다. LH가 집장사 땅장사를 통해 수익을 거둬야 한다는 장사논리는 더욱 강해질 것이며, 국민을 위한 공공주택 확대는 뒷전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정부가 진정 주택가격 상승에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공공주택의 시세를 반영하도록 LH의 자산평가방식을 개선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주택을 대거 늘려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BEST 뉴스
-
[속보] 이란, 이스라엘 텔아비브에 미사일 공격…도심 일대 초토화
14일, 이란이 이스라엘 텔아비브를 향해 대규모 미사일 공격을 감행하며 양국 간 무력 충돌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을 통해 전해진 현지 상황에 따르면, 이란이 발사한 미사일 다수가 이스라엘의 방공 시스템인 '아이언돔'을 돌파해 도시 중심부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힌 것으로 전해졌다. &nbs... -
"재료가 다 떨어졌어요"… '빙수 폭탄돌리는 알바생들' 영상 화제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자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들이 여름 한정 메뉴로 내놓은 빙수류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한 손님이 최근 메가커피 인기음료인 ‘팥빙 젤라또 파르페’를 주문하고 있다. 사진=위메이크뉴스 류근원 기자 특히 메가커피가 출시한 ‘팥빙 젤라또... -
영종 베르힐CC, 18홀 우선 개장…6월 한정 할인 이벤트도
인천 영종도에 또 하나의 프리미엄 골프장이 문을 열었다. 도시와 레저, 그리고 바다 전망을 품은 아일랜드형 토너먼트 코스 ‘영종 베르힐 컨트리클럽(이하 베르힐CC)’이 최근 정식 오픈을 알렸다. 베르힐CC 전경 조감도 이미지 출처=영종 베르힐 컨트리클럽 누리집 베... -
[단독]대한항공 자회사 기장이 직접 말했다 “진에어는 위험하니 타지 말라”
대한항공 자회사인 진에어에서 일하는 기장이 직접 진에어 비행기가 위험할 수 있다며 “타지 말라”고 경고했다. 경영진이 과도한 비용 절감에 나서 승객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내부 고발이다. 진에어 항공기 사진=진에어 제공 최근 직장인 익명 커뮤... -
“승무원 안전보다 수익?”…LA 시위 속 대한항공의 자회사 챙기기 논란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가 격화된 반이민 시위로 사실상 준전시 상황에 접어든 가운데, 대한항공이 현지 체류 중인 승무원들의 안전보다 호텔 수익을 우선시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현재 대한항공 승무원들이 묵고 있는 곳은 LA 인터컨티넨탈 호텔(900 Wilshire Blvd). 시위의 중심지인 LA 다운타운 한... -
LG家 급식 줄줄이 이탈 조짐… 아워홈 인수한 김동선 부사장 ‘속앓이’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삼남 김동선 부사장이 ‘패밀리 경영’을 선언하며 인수한 아워홈이 예상치 못한 암초를 만났다. 급식 부문 최대 고객이던 LG가(家) 계열사들의 대규모 이탈이 예고되면서다.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 [연합뉴스 자료 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