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국 영화산업은 상하반기 희비가 엇갈렸다. 상반기 <파묘>와 <범죄도시4>가 연이어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극장 시장의 활력을 기대하게 했으나, 하반기 여름시장 실적 저조와 메가 히트작 부재로 성장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전체 극장 매출액은 1조 1945억원, 전체 관객 수는 1억 2313만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5.3%, 1.6% 소폭 하락하였다. 엔데믹 이후 관객들이 극장을 다시 찾을 거라는 기대감이 있었지만, 최근 3년간 극장 매출액과 관객 수 추이를 보면 각각 1조 2천억원 내외, 1억 2천만명 내외의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러한 영화시장 정체 속에서도 한국영화는 선전했다. 2024년 한국영화 매출액은 69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5%(925억원) 증가했고, 관객 수 역시 7147만명으로 17.6%(1072만명) 상승했다. 또한 2024년 한국 상업영화 평균 추정수익률은 –16.44%로 2023년 수익률 –30.98%에 비해 상당히 개선되었다. 2024년 한국 박스오피스 1위는 <파묘>로, 1152억원의 매출과 1191만명의 관객을 기록했다. 그 뒤를 이은 <범죄도시4>는 1101억원의 매출과 115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두 번째 천만 영화에 등극했다. 할리우드 파업 등의 영향으로 2024년 외국영화 흥행이 부진한 사이, 한국영화는 팬데믹 이전에 비하면 충분히 회복되진 못했지만 유의미한 수준의 매출액 증가와 수익률 개선을 거둔 점이 고무적이었다.
2024년 외국영화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 외국영화의 극장 매출은 5036억원으로 전년 대비 24.0%(1594억원) 감소했고, 관객 수도 5165만명으로 19.8%(1273만명) 줄었다. <인사이드 아웃 2>가 845억원의 매출과 880만명의 관객을 기록하며 외국영화 중 가장 높은 성적을 올렸지만, 이 작품을 포함하여 <윙카>와 <모아나2> 등 단 3편만이 300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는 데 그쳤다.
2024년 평균 관람요금은 전년 대비 3.8% 감소한 9,702원이었다. 2022년 처음으로 1만 원을 넘어섰던 평균 관람요금이 2024년 9,702원을 기록하면서 3년 만에 9천 원 대로 하락했다. 2024년 외화 약세로 특수상영 매출액이 감소했고, 할인 프로모션 등을 이용한 관객이 늘면서 평균 관람요금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4년 한국의 국민 1인당 극장 관람횟수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2.40회로 세계 8위에 올랐다.

□ 성수기·비수기 경계 흐려지고 콘텐츠 경쟁력이 흥행 좌우… 변화된 흥행 및 소비 경향
2024년 영화시장에서는 변화된 흥행 흐름과 소비 경향이 돋보였다. 기존 영화의 개봉 시기를 정하는 데 있어 기본 원칙처럼 고려되는 성수기와 비수기의 경계가 흐려지고, 영화 콘텐츠의 경쟁력이 흥행을 좌우하는 시장으로 변모하였다. 2024년 상반기 탄생한 두 편의 ‘천만 영화’ <파묘>와 <범죄도시4>는 그간 극장 시장의 봄 비수기로 알려졌던 2~4월에 개봉하여 대흥행하면서, 영화의 개봉시기라는 시즌성이 약화되고 콘텐츠 자체의 힘이 중요해지고 있는 것을 드러냈다. 이어서 메이저 투자배급사 간에 매년 가장 치열하게 싸움을 벌이던 2024년 여름 시장에도 텐트폴 영화가 한 편도 개봉하지 않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졌다. 블록버스터 없는 여름 시장에서는 <파일럿>(매출액 432억원, 관객 수 472만명), <탈주>(매출액 242억원, 관객 수 256만명) 등 중급영화가 많은 관객들의 호응을 받으며 선전하였다.
이처럼 개봉 방식과 배급 전략이 변화하며 검증된 콘텐츠를 선택하려는 관객들의 ‘안전 구매’ 경향이 더욱 뚜렷해졌다. 상업영화로는 <범죄도시4> <인사이드 아웃 2> <베테랑2> 등의 흥행이 보장된 속편 영화들이 흥행했고, 독립예술영화에서는 <존 오브 인터레스트> <가여운 것들> <서브스턴스> 등 영화제 수상작들이 선호되었다. 팬덤 마케팅과 검증된 IP를 활용한 속편·리메이크 작품이 안정적인 흥행을 기록하면서,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개봉 전략이 자리 잡아가고 있다. 기존 아동 관객층을 확보하고 있던 <사랑의 하츄핑>이 ‘가족물’로 팬덤층 확대를 도모하며 흥행에 성공했고, 매출액 111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한국 애 니메이션 영화 2위에 올랐다. <임영웅│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도 확실한 팬덤의 높은 관람률에 힘입어 극장 매출액 101억원을 상회하면서 공연실황 영화 최고 흥행작에 등극하였다.
BEST 뉴스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