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쑤저우(蘇州) → 강남수향(江南水鄕) → 항저우(杭州) → 샤오싱(紹興)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는 말 때문인지 강남(江南)이라는 말이 주는 선입견이 있다. 중국에서 강남은 다양하게 풀이된다.

사실 문학적으로 말한다면 강남은 창지앙의 중남부까지를 말하지만 중국에서 문화적인 지형도로 강남은 항저우에서 쑤저우 등 화동 지방을 일컫는다.
“하늘에는 천당이 있고, 땅에는 쑤저우, 항저우가 있다”는 말은 여행자들이 가장 쉽게 듣는 말이다. 흔히 화동으로 불리는 쑤저우와 항저우는 중국에서 가장 평안한 땅이다.
베이징이나 화북 지방은 기마민족이 포진한 북방과 가까워 항상 전화(戰禍)에 시달렸다. 반면에 북방의 전쟁 소식이 이곳에 닿기 전에 큰 전쟁은 이미 끝이 난 경우가 많았다.
3월이면 사방에 꽃이 물든다. 로마제국의 재정까지 흔들었다는 비단이 나오는 곳도 쑤저우 등 화동지방이다. 중국 최고의 명차로 꼽히는 롱징을 비롯해 이 지역의 풍요를 말할 것들은 끝이 없다.

강남의 중심도시 항저우의 중간에 있는 시후(西湖)는 그 문화의 중심이다. 필자는 10여 차례 시후를 찾았다.
사계절을 모두 봤고, 정자 밖의 정자라는 아름다운 이름을 가진 로우와이로우(樓外樓)에서 깊은 맛을 가진 항저우 음식을 맛보기도 했다.
하지만 시후가 인상적인 곳은 그곳에 잠겨 있는 시간의 향기다. 그 가운데는 백거이와 소동파처럼 호수의 공사에 참여한 이들의 역사도 있고, 호수 옆에 있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의 수심도 담겨져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별스러운 것이 있다면 ‘백사전(白蛇傳)’의 이야기일 것이다. 멀리 쿤룬산에서 이곳을 찾은 백사는 이곳 청년인 허선을 보고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인근 사찰에 있는 법해 스님이 그 사실을 알아서 백사의 실체를 드러내 보여주는데, 허선은 이에 놀라서 죽는다.
백사는 사람을 죽인 죄책감과 허선에 대한 사랑으로 온갖 시련을 겪고, 쿤룬산에서 신약(神藥)을 구해와 허선을 살린다. 하지만 다시 법해는 다시 백사를 뇌봉탑에 가둔다.
사실 이야기가 여기서 끝났다면 죽은 이야기일 텐데 사람들은 서서히 요물인 백사보다는 파괴적인 심상을 가진 법해를 부정적으로 보기 시작한다. 때문에 이제 법해가 이기는 결론에 매몰되지 않고 다양한 이야기가 쏟아진다.
항저우 여행에서는 곳곳에 있는 이 이야기만 생각해도 느낌이 있다. 둘이 만났다는 단교는 물론이고 백사가 갇힌 뇌봉탑에는 이 이야기가 담겨 있다. 또 밤에 즐기는 버라이어티쇼 송성에서도 이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천당들의 여름은 좀 괴롭다. 40℃에 육박하는 날씨도 날씨지만 90%를 넘는 습도는 가만히 앉아 있어도 땀을 줄줄 나게 하기 때문이다.
여름 휴가를 많이 쓰기 때문에 한여름에도 이곳에 많이 몰리는데, 요즘은 5일 근무제가 활성화되는 만큼 가장 좋은 여행 시즌인 봄이나 가을에 금토일 정도로 계획을 잡는 게 현명하다.
우리가 화동지방을 볼 때 가장 큰 주안점을 둘 것이 있다. 바로 정치와 철학이다. 현대 중국을 세운 인물들은 매운 음식을 많이 먹는 후난(湖南)과 쓰촨(四川) 사람들이었다.
마오쩌둥, 류샤오치, 펑더화이, 주더, 덩샤오핑 같은 인물이 그곳 출신이다. 하지만 장쩌민이나 우방궈, 후진타오 같은 현대 지도자들은 대부분 물산이 풍부한 지앙쑤나 저지앙 등 화동 출신이 많다. 그런 배경에는 이곳이 오랜 지식을 축적한 지성의 산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곳 여행에서 중국 사상계를 생각하고 떠나면 새로운 맛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여행을 만들 수 있다.
아직 필자도 다 실행해 보지 못했지만 화동에서 가장 즐거운 것은 여행의 여유를 즐기는 것이다. 3월이면 유채꽃이 어우러지는 지역들을 유유자적하게 다니는 것도 좋을 것이다.
항저우 롱징에 차가 나는 청명(淸明 4월 5일 전후)에는 이곳의 사람들에 빠져볼 일이다. 4월이 지나면 어디든지 아름다운 꽃이 핀다.
쑤저우 정원은 물론이고 후치우 언덕에 꽃이 피면 조우주왕이나 통리 같은 수향(水鄕) 마을의 오래된 옛 침대에서 늦잠을 자는 것도 좋을 것이다. 가을이 되면 양징후 등지에서 게(蟹)가 여물어간다.
그밖에도 이곳은 아름다운 여유가 있다. 지아싱(嘉興) 등지는 비단철이 되면 누에고치를 판매하는 이들로 시장이 형성되고, 샤오싱(紹興)의 오봉선들이 모인 곳에서는 즐거운 공연이 펼쳐지기도 한다.
글/사진= 조창완 여행 작가, 중국자본시장연구회 부회장
BEST 뉴스
-
[이상헌의 성공창업] 민생지원금, '단비인가 ·독배인가'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민생회복지원금’이 다시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경기 침체 속에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되살리기 위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명분은 분명하다. 그러나 단기적 경기 부양과 함께 재정 건전성, 물가 안정, 정책 효율성 등 여러 구조적 과제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 -
검찰청 폐지' 공소청·중수청 신설…경실련 “권한 쪼개기 우려”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수정안이 통과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회가 26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검찰청을 폐지하고, 기소 전담 공소청과 수사 전담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하는 이른바 ‘수사·기소 분리’ 제도를 법제화했다. ... -
[신박한 컨설팅] 실패도 성장의 발판, 함께 만들어가는 ‘포용적 문화’
우리나라 소상공인들은 수많은 도전과 위기를 겪으며 살아간다. 하지만 상당수의 소상공인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고, ‘실패 경험’을 공개하는 것을 꺼린다. 이는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문화’와 ‘실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았기 때문인데, 이에 따라 도전 정신이 위축되고, 재도전의 기회 또한... -
[신박사의 신박한 칼럼] 소상공인 재기의 불씨, ‘희망리턴재기지원사업’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 경제는 여러 위기와 변화 속에서 많은 소상공인들이 어려움을 겪어 왔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영업 제한과 소비심리 위축은 모든 소상공인들을 힘들게 만들었고, 경기하락에 따라 지역경제에도 큰 충격을 안겨줬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반지하 없애겠다던 오세훈 공약은 어디로… 2년간 이주율 2.3% 그쳐
2022년 신림동 반지하 침수 참사 이후 오세훈 서울시장이 “반지하 주택을 없애겠다”고 공언했지만, 지난 2년간 실제 이주 실적은 2.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매입임대 공급률은 0.3%에 그치며 정책 효과가 사실상 전무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지난 2022년 8월 8일 오후 9시 7분께 서울 관악구 ... -
[이상헌의 성공창업백서] 부동산과 창업, ‘공간경제’의 핵심 연결고리가 정답
창업은 흔히 ‘아이템’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공간’에서 완성된다.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부동산이다. 상권 입지, 임대료, 유동인구, 공간 활용 구조 등 부동산 요소가 창업의 생존률을 좌우한다. 그만큼 부동산은 창업의 무대이자 진입장벽이며, 더 나아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