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분야에서 온실가스 주요요인으로는 논에 고여있는 습기로 인한 메탄가스와 소 등 가축에서 나오는 메탄가스 그리고 화학비료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가운데 농업을 친환경으로 짓기만 해도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29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친환경 농업의 공익성 바로 알기 언론인 대상 교육’에서 대한영양사협회 이영은 회장(원광대 식품영양학과 교수)의 주장이다.
이영은 회장은 “친환경 농업은 식품의 품질ㆍ건강지킴이는 물론이고 기후위기의 해결사 역할도 담당한다”면서 “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등 지구 환경을 보호하고,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한다”고 말했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에 농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반적인 판단보다는 훨씬 높다는 것이 이 회장의 분석이다.
이 회장은 “전 세계적으로 농업과 축산ㆍ낙농업으로 인해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전체의 10%에 이른다. 또한 산림 벌채와 토지 사용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도 14%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약 24%가 농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만큼 농업도 기후변화 요인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다. 농사를 지을 때 온실가스의 요인은 화학비료를 쓰고 농약을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화학비료와 농약 등을 과다 사용하면 1차적으로 토양이 산성화되는데 문제가 있다. 토양속 환경에 도움을 주는 지네, 거미, 개미 등 곤충과 지렁이, 선충, 원생동물 등의 미생물이 살아남지 못하면 흙 분자의 공극이 없어지고 단단해져 결국 식물이 영양분을 잘 흡수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로 인해 땅에 흡수되지 못한 비료는 하천으로 흘러가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된다. 화학비료와 농약으로 인한 토양 내 생물 다양성이 사라지면 그 연쇄 작용으로 육상 생태계가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다.
이 회장은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면 토양(농지)이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수해 대기권 온실가스를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다”며 “독일 뮌헨 공과 대학의 2020년 연구에 따르면 친환경 농산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반 농산물보다 적었다”고 강조했다.

친환경 농산물을 섭취하면 잔류 농약 섭취도 줄일 수 있다. 친환경 농산물이 건강에 더 이롭다는 연구 결과도 이어지고 있다. 친환경 농산물은 일반 농산물보다 더 많은 영양소를 함유할 수 있다. 2010년 ‘대체의학 리뷰(Alternative Medicine Review)지엔 “여러 연구논문 검토 결과 친환경 농산물은 같은 종류의 일반 농산물보다 비타민 Cㆍ철ㆍ마그네슘 등이 더 많이 든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논문이 실렸다.
이 회장은 “친환경 농산물엔 식물이 미생물이나 해충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파이토케미컬(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이 더 많이 들어있다”며 “파이토케미컬은 사람이 섭취하면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 세포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노화 억제 등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친환경 농산물은 농산물 자체 고유의 맛을 가지고 있어, 풍미가 다양하고 풍부하다. 친환경 농업은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해 준다.
이 회장은 “지속 가능한 농업이란 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농업의 생산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농업형태로서 농업 생산의 경제성 확보, 환경 보전, 농산물의 안전성을 동시 추구하는 농업”이며 “환경 보전 등 가치 소비를 지향하는 MZ 세대의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관심과 구매가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친환경 농업이 온실가스를 줄여준다는 주장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국가도 농업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공감한다"면서 "이러한 까닭에 농업인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하는 경우 정부가 톤 당 1만 원씩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사업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 -
국가AI전략위, ‘AI정부’ 전환 TF 출범…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 주목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이 마비된 사태 이후, 정부가 근본적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 이하 위원회)는 29일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 구성을 공식화했다. 이 TF의 공동 리더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겸 CA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