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신차 4대 중 3대는 6개월 이상 기다려야

  • 김웅렬 기자
  • 입력 2022.06.07 23:1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신차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기다리는 시간을 더 늘려잡아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 대만업체 TSMC의 MCU 생산 독점 공급망 차질 등으로 촉발된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생산 불확실성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현재 기준으로 반년 이내 출고 가능한 현대·기아 차종은 4대 중 1대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2006060111491313270.03079700.jpg
사진 자료 출처=쌍용자동차

자동차 종합정보 서비스 ‘다나와자동차(auto.danawa.com)’는 현대·기아차의 6월 납기 일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83종의 차종 트림 중 6개월 이내 출고 가능한 트림은 21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6개월 내 출고가 가능한 차종은 현대차의 ‘아반떼N’, ‘벨로스터N’, ‘코나N’, ‘쏘나타’, 기아의 ‘모닝’, ‘레이’, ‘스팅어’, ‘K3’, ‘봉고’LPI, 제네시스의 ‘G70’ 등 21개다. 이외 62종의 차량은 모두 6개월 이상 대기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나와자동차 관계자는 “현재는 인기 차종이 아니라도 반년 가까이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며“2020년 말부터 본격화 된 반도체 수급문제가 장기화 되며 시장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전반적으로 출고 적체가 심해지며 인기차량의 대기기간은 더욱 늘어나는 추세다. 다나와자동차 자료에 따르면 이달 ‘싼타페’ 하이브리드의 대기는 16개월로 전월 대비 4개월 늘어났으며 ‘쏘렌토’ 디젤과 ‘스포티지’디젤의 대기는 각각 14개월에서 16개월로 2개월 증가했다. 이밖에 아반떼, K5, GV80 등도 전월 대비 각각 1~2개월 가량 대기기간이 증가했다. 

532T.jpg

그렇다면 반도체 공급의 정상화는 언제쯤 가능해질까. 전문가들에 따르면 올해 반도체 공급은 점진적 완화가 예상되나 신차 공급 제한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업계 관계자는 "최근 반도체 업체들이 파운드리 파트너에 아웃소싱을 늘려 생산량을 확대할 계획으로 알고 있다. 많은 업체들이 올해 차량용 MCU 생산의 15%를 TSMC에 아웃소싱으로 맡긴 상태다. 따라서 점차 공급물량은 늘어 날 것으로 본다"고 낙관했다.


한편 완성차 업계는 유연한 반도체 배분, 차량 생산 일정 조정 등을 통해 부품 공급 지연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신차 4대 중 3대는 6개월 이상 기다려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