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81.1%가 일반국민과 공무원·교직원 연금이 모두 공평해야 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같은 내용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7일 발표한 '미래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보건복지 대응' 보고서(연구책임자 신윤정)에 담긴 '인구구조 변화와 보건복지정책에 대한 대국민 조사'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과 관련해서 '일반 국민, 공무원, 교직원이 모두 공평하게 국가에서 연금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에 81.1%가 동의했다.
연금보험료나 복지혜택을 위한 세금을 더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많은 편이었지만, 건보료를 더 낼 용의가 있다는 응답자들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향후 적절한 연금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연금 보험료를 부담할 용의가 있다'는 문항에는 61.3%가 '동의한다'고 답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38.7%)보다 22.6%p 높았다.
'국가로부터 더 많은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낼 용의가 있다'는 명제에도 동의(56.0%)가 부동의(44.1%)보다 많았다.
반대로 '건강보험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지금보다 더 많은 건강보험료를 부담할 용의가 있다'는 말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8.8%로 '동의한다'는 대답(41.2%)을 넘었다.
또 89.9%는 '국민연금 외에도 개인적으로 퇴직연금이나 개인연금에 가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설문조사는 만 20~69세 6천명을 대상으로 작년 10월8~25일 온라인으로 실시됐다.
◇ '尹정부 추진' 정년연장 여론 높아…여성·유자녀 응답률 高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은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금보험료나 복지 혜택을 위한 세금을 더 낼 용의가 있다는 국민들이 다수였지만, 반대로 건강보험료에 대해서는 더 낼 용의가 없다는 의견이 절반을 넘었다.
조사 결과 '지금보다 더 오래 일할 수 있도록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는 말에 응답자의 46.1%가 '다소 동의한다', 37.1%가 '매우 동의한다'고 답해 두 답변을 합쳐 83.4%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대답은 14.8%였고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1.8%뿐이었다.
정년 연장에 동의한다는 답변의 비율은 30대와 40대에서 특히 높았다. 40대가 86.3%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84.1%로 다음이었다. 50대와 60대는 각각 82.4%와 82.8%였고 20대 역시 81.2%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상대적으로는 낮았다.
또 여성(85.3%)이 남성(81.6%)보다 높았고, 배우자가 있을 때(84.6%), 자녀가 있을 때(84.0%) 더 높았다. 월 가구 소득이 500만~700만원으로 높은 수준인 경우(85.0%), 대졸인 경우(84.0%)에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정년 연장에 찬성했다.
정부는 정년 연장 혹은 폐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에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위해 추진할 과제 중 하나로 '고령자 계속고용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제시됐다.
정부는 정년 연장 혹은 폐지, 정년 이후에도 기업이 고령층을 다시 고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사회적 논의 테이블에 모두 올려놓을 방침이다.

◇ 출산보다는 혼인에서 '불평등' 의견 많아
출산과 혼인이 부유한 정도나 배경에 따라 불공평한지를 묻는 항목들에서는 출산보다 혼인에 대해 동의하는 응답자들이 많았다.
'가족배경이 좋은 청년일수록 결혼하기 쉽다'는 얘기에 89.1%가 동의했고, '부유한 청년들이 결혼하기 더 쉽다'는 말에는 84.1%가 동의를 표했다.
반면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보다 부유한 사람들이 더 많은 자녀를 낳고 있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42.9%가 '동의한다'고 답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57.1%보다 응답률이 낮았다.
연구진은 "자녀 양육에 대한 지원 정책이 저출산으로 인해 최근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에 혼인보다 출산에 대해 불평등 동의 정도가 낮았다"며 "결혼의 경우 정부의 지원 정책이 그동안 거의 없었고, 최근 주택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한 것이 영향을 미쳐 불평등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았다"고 분석했다.
BEST 뉴스
-
[단독]삼성 빌트인 냉장고 '물수건만 닦아도 코팅 벗겨졌다'
신축 아파트 입주자들이 선택한 삼성 빌트인 냉장고(모델 BRS665040SR·BRS685050SR)에서 표면 코팅이 물수건만 사용해 닦아도 쉽게 벗겨진다는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삼성 빌트인 냉장고 표면 벗겨짐 현상 ... -
아모레퍼시픽 1위…한국콜마 하락·코스맥스 상승
국내 화장품 상장사 브랜드 순위에서 아모레퍼시픽이 1위를 지켰다. 한국콜마는 순위가 내려간 반면, 코스맥스는 상승세를 보이며 상위권 판도를 흔들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래드연구소 제공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6일 ‘K-브랜드지수’ 화장... -
현대건설, 국내 첫 상업용 수전해 수소 생산기지 준공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의 상업용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를 완공했다. 청정수소를 본격 생산·공급하는 인프라를 갖추면서 에너지 전환 시대 대응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24일(수)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에서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왼쪽에서 4번째), 권익현...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최근 발생한 무단·부정 카드결제 사건과 관련해 소비자단체가 피해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금융감독원의 결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사)소비자와함께는 성명을 내고 “위험을 먼저 감지할 수 있는 주체가 먼저 책임져야 한다”며 즉각적인 시정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성명에서 “새벽 시간대 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강원랜드가 최근 5년간 카지노 이용 고객에게 지급한 ‘콤프’ 규모가 총 5,700억 원에 달하지만, 불법 사용 사례인 이른바 ‘콤프깡’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감독 체계는 허술해 실효성 없는 제도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 사진=연합뉴스 ... -
용인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세트 3만8000원…팬심 바가지 논란
경기 용인 에버랜드가 넷플릭스와 협업해 선보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테마존’이 개장 닷새 만에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끌어모으며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판매되는 ‘헌트릭스 세트(3만8000원)’와 ‘사자보이즈 세트(3만6000원)’의 가격을 두고 “팬심을 이용한 바가지 장사”라는 논란이 제기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