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 세계에는 2만8420명의 억만장자가 존재한다. 자산 이전 및 투자를 통한 이민 전문업체 헨리 & 파트너스(Henley & Partners)에서 글로벌 자산 정보 기업 New World Wealth의 독점 데이터를 반영해 발표한 ‘2023 억만장자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20년 전에 비해 두 배 늘어난 숫자로 지난해 이 시기와 비교해서도 12% 증가했다.
이렇게 세계적으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영향력 높은 초부유층 집단은 미화로 억만달러 이상의 투자 가용 자산을 자랑한다.
지난해 첫 보고서에 나타났듯 억만장자는 국가별로 보면 대부분 미국(38%)에 집중돼 있으며 대형 신흥 시장인 중국과 인도가 그 뒤를 잇고 있다. 또 세계 억만장자의 1/3은 전 세계 50개 주요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뉴욕이 가장 많은 숫자인 775명을 기록했다.
헨리 & 파트너스의 CEO 유르그 스테픈(Juerg Steffen) 박사는 오늘날 ‘초부유층’을 설명하는 가장 정확한 정의는 미화로 억만 달러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집단이라고 말한다. 스테픈 박사는 “얼마 전인 1990년대 말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은행이 미화 3000만달러면 초부유층으로 분류되기에 충분한 재산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때 이후로 자산 가격이 현저히 상승했고, 이제 미화 억만달러가 새로운 벤치마크가 됐다”고 설명했다.
◇ 상위 10개 도시
1위 뉴욕시를 바짝 뒤쫓는 곳은 샌프란시스코 만안의 베이 에어리어로 692명의 억만장자가 거주하고 있으며, 504명이 거주하고 있는 로스앤젤레스가 그 뒤를 이었다. 지난 12개월 동안 뉴욕시에서는 억만장자 인구수가 5% 증가했고 베이 에어리어에서는 11% 증가했다. 억만장자 286명이 거주하는 시카고 역시 상위 10개 도시에 이름을 올리며 9위를 기록했으나 지난해에 비하면 16%에 가까운 큰 감소세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상위 50개 도시 중 12개를 미국이 차지했고, 2023년 6월 기준으로 전 세계 억만장자의 11.7%인 총 3311명의 억만장자가 이 12개 도시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국은 상위 50개 도시에 런던 단 한 곳만 이름을 올렸는데, 전 세계 억만장자의 1.4%에 해당하는 총 338명이 거주해 4위를 기록했다. 한때 부와 영향력 면에서 전 세계의 중심이었던 런던이지만 침체기에 접어든 모양새다. 1년 전에는 런던에 거주하는 억만장자가 406명이었으니 억만장자 인구수가 12개월 만에 4.4% 감소한 것이다.
상위 랭킹에서는 아시아의 약진이 인상적이어서 억만장자가 거주하는 상위 10개 지역에 아시아의 네 개 지역이 이름을 올렸다. 중국 대륙에서는 365명이 거주하는 베이징이 5위, 332명이 거주하는 상하이가 6위를 기록했다. 330명이 거주하는 싱가포르가 그 뒤를 이어 7위를 기록했고 305명이 거주하는 홍콩(중국 특별 행정 자치구)이 8위에 올랐다. 파리와 일드프랑스(Ile-de-France) 지역은 280명이 거주해 10위에 자리매김했다.
◇ 전 세계적으로 남부 지역이 성장할 전망
상위 50개 도시 중에서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중심지인 항저우가 향후 10년 동안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여 억만장자 인구수가 9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 뒤를 기술 중심지인 선전(88%)이 바짝 뒤따르고 있다.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와 인도 최대 상업 중심지인 델리도 지금부터 2033년까지 85%라는 3번째 높은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인도의 금융 중심지 뭄바이 역시 억만장자 인구수가 80%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의 기술 친화 도시 오스틴도 2033년까지 84%의 강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두바이도 활기 넘치고 다각화된 경제를 바탕으로 10년 뒤 뭄바이에 비해 크게 뒤처지지 않는 78%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며, 중국의 운송 및 무역 중심지 광저우(76%)와 세계에서 가장 비싼 도시 모나코(72%)가 그 뒤를 이을 것으로 보인다.
호주 역시 멜버른이 67%, 시드니가 60%, 퍼스가 57%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반면 로스앤젤레스는 17%, 런던은 12%, 시카고는 6%의 부진한 성장이 예측됐다. 모스크바는 겨우 5%에 불과했다.
BEST 뉴스
-
김건희 ‘판도라 폰’ 공개되자… 도이치 공범 이준수 추적, 행방 묘연
김건희 여사의 휴대전화 포렌식 자료가 공개되면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숨은 인물’로 지목돼온 56세 이준수 씨의 실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8월12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하고 있다. 사... -
강남 똑똑플란트치과, 결국 터질게 터졌다 …노동부 특별감독 착수
서울 강남구 대형 임플란트 전문 치과인 똑똑플란트치과에서 수년간 비정상적인 근로 관행과 직장 내 괴롭힘이 벌어졌다는 의혹이 확산되며 고용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에 착수했다. 이번 사안은 입사 이틀 만에 퇴사한 직원에게 180만원을 배상하라는 내용증명이 발송되면서 시작됐다. 해당 사실이 온라... -
“시대인재” 저작권 무단 사용…문저협 가처분·형사 고소 강행
국내 최대 문학·예술 저작권 관리 단체인 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문저협)가 대치동 대형 입시학원 ‘시대인재’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금지 가처분을 신청하고 형사 고소 절차에 들어갔다. '교육 목적을 명분으로 참고서·문학 지문을 무단 발췌하고 출처를 누락하는 사교육 시장 관행을 더는 ... -
'반성문 강요·3시간 대기·사후관리 실종'…논란 확산하는 똑똑플란트치과
강남의 한 치과를 둘러싼 논란이 점차 확산 일로를 걷고 있다. 직원들에게 수백 줄짜리 반성문 작성, 면벽 서기, 고성·욕설이 반복됐다는 내부 제보가 불거져 고용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에 착수한 데 이어, 이번에는 환자들의 시술 불편·사후관리 부재·비용 논란이 잇따라 제기되며 파문이 다시 커지고 있다. ... -
‘매우 혼잡’ 대한항공 라운지…아시아나 승객까지 쓴다고?
#. 16일 대한항공 비즈니스석을 타고 인천에서 시드니로 떠난 대한항공 고객은 이날 대한항공 앱에서 2터미널 라운지 혼잡 정도를 검색했다가 깜짝 놀랐다. 2터미널에 있는 3개의 대한항공 라운지가 전부 빨간색으로 표기되며 ‘매우 혼잡’이라고 경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8월 새롭게 연 ... -
매출 3억 원 하렉스인포텍, 2조8천억 홈플러스 인수?
국내 대형마트 2위인 홈플러스 인수전에 ‘하렉스인포텍’이라는 낯선 이름이 등장했다. 하지만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3억 원에 불과하고, 직원 수도 20명 남짓한 소규모 비상장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는 2조8천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 계획을 내세우며 홈플러스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