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택 끝나기 전에 차부터 계약하자더군요. 진짜 이달은 다릅니다.”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르노코리아 플래그십 스토어 ‘르노 성수’. 평일 오후임에도 대기표를 받으려고 줄을 서는 고객들로 북적인다. 한 전시장 관계자는 “6월 들어 상담 고객이 확연히 늘었다”며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이 끝난다는 소식에 차량 계약이 급증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진자료] 르노코리아 플래그십 스토어 르노 성수에서 고객들이 입장 대기를 하고 있다..jpg](/data/editor/2506/20250614152039_szkcorbi.jpg)
르노코리아에 따르면, 6월 12일까지의 신차 계약 대수는 전월 같은 기간 대비 약 4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시장 방문 고객들의 실제 구매율도 35% 이상 늘었다. 숫자가 말해주듯, 6월 자동차 시장은 ‘진짜 성수기’를 맞았다.
개별소비세는 원래 차량 가격의 5%였지만, 현 정책으로 3.5%까지 인하됐다. 업계 관계자는 “3,000만 원대 차량 기준으로도 개소세 인하 효과만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100만 원 이상 절약될 수 있다”며 “혜택 종료 전 막차를 타려는 고객들이 전시장으로 몰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르노코리아도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6월 한 달간 전 차종 구매 혜택을 대폭 확대하며 소비자 몰이에 나섰다.
현재 르노코리아 차량을 구매하면 차종에 따라 ▲옵션/액세서리/연장보증 혜택(최대 60만 원 상당) 또는 ▲엔진오일 무상 교환 쿠폰(3회)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스테디셀러 SUV ‘그랑 콜레오스’는 6만 대 계약 돌파를 기념해 특별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 중이다.
추첨을 통해 소피텔 서울 숙박권, 바우처를 증정하며, 그랑 콜레오스 계약 고객 중 1명에게는 ‘2025 파리 디자인 위크’ 방문 항공권도 제공한다.
르노코리아 황재섭 세일즈·네트워크 전무는 “6월은 개소세 인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마지막 달”이라며 “할부 혜택, 옵션 지원 등 모든 면에서 최적의 조건을 마련한 만큼 전시장 상담만 받아도 충분한 차이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BEST 뉴스
-
[단독]삼성 빌트인 냉장고 '물수건만 닦아도 코팅 벗겨졌다'
신축 아파트 입주자들이 선택한 삼성 빌트인 냉장고(모델 BRS665040SR·BRS685050SR)에서 표면 코팅이 물수건만 사용해 닦아도 쉽게 벗겨진다는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삼성 빌트인 냉장고 표면 벗겨짐 현상 ... -
아모레퍼시픽 1위…한국콜마 하락·코스맥스 상승
국내 화장품 상장사 브랜드 순위에서 아모레퍼시픽이 1위를 지켰다. 한국콜마는 순위가 내려간 반면, 코스맥스는 상승세를 보이며 상위권 판도를 흔들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래드연구소 제공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6일 ‘K-브랜드지수’ 화장... -
현대건설, 국내 첫 상업용 수전해 수소 생산기지 준공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의 상업용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를 완공했다. 청정수소를 본격 생산·공급하는 인프라를 갖추면서 에너지 전환 시대 대응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24일(수)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에서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왼쪽에서 4번째), 권익현...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최근 발생한 무단·부정 카드결제 사건과 관련해 소비자단체가 피해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금융감독원의 결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사)소비자와함께는 성명을 내고 “위험을 먼저 감지할 수 있는 주체가 먼저 책임져야 한다”며 즉각적인 시정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성명에서 “새벽 시간대 연... -
용인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세트 3만8000원…팬심 바가지 논란
경기 용인 에버랜드가 넷플릭스와 협업해 선보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테마존’이 개장 닷새 만에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끌어모으며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판매되는 ‘헌트릭스 세트(3만8000원)’와 ‘사자보이즈 세트(3만6000원)’의 가격을 두고 “팬심을 이용한 바가지 장사”라는 논란이 제기되...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강원랜드가 최근 5년간 카지노 이용 고객에게 지급한 ‘콤프’ 규모가 총 5,700억 원에 달하지만, 불법 사용 사례인 이른바 ‘콤프깡’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감독 체계는 허술해 실효성 없는 제도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 사진=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