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9월 1일부터 예금자 보호한도 5천만원에서 1억원 상향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07.03 14:1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농협·신협·새마을금고 등 동네 금융기관 예금도 동일하게 적용

9월 1일부터 은행, 저축은행, 농협, 신협, 새마을금고 등에 맡긴 예금이 이자를 포함해 최대 1억원까지 보호받는다.


 

453ttT.jpg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 사진=서영교 의원실 제공

 

지금까지는 1인당 5천만원까지만 예금자 보호가 가능했지만, 24년 만에 보호 한도가 두 배로 늘어난 것이다.


이번 제도 변화는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갑, 국회 법사위)이 대표발의한 ‘예금자보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현실화됐다.


개정안에 따라 퇴직연금, 연금저축, 사고보험금 등도 예금자 보호 범위에 포함되며, 예금보험공사가 해당 금액을 지급하게 된다. 단, 보호금액은 금융사별 1인 기준 1억원 한도이며, 여러 지점에 나눠 예금해도 합산 적용된다.


2001년부터 5천만원으로 묶여 있던 예금 보호 한도는 물가와 경제 규모가 크게 오른 현재 기준으로는 사실상 실효성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실제로 미국은 25만 달러(약 3억 3천만원), 영국은 8만 5천 파운드(약 1억 5천만원), 일본은 1천만 엔(약 9,400만원)까지 예금자를 보호한다. 중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도 한국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서영교 의원은 “이번 개정안은 동네에서 자주 찾는 농협, 신협, 새마을금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돼 생활 밀착형 금융안전망을 구축했다”며 “서민 예금자들의 불안을 덜고, 금융기관의 신뢰도 향상 및 경제의 선순환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고령층과 자영업자, 그리고 퇴직연금에 의존하는 중장년층에게 특히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금융사 리스크에 민감한 소비자 심리를 안정시키는 데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 보훈급여 부정수급 47억 신규 적발
  • 김건희 일가 운영 요양원, 노인학대 판정서 공개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최소 19명 더… “축소·은폐 전형” 비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9월 1일부터 예금자 보호한도 5천만원에서 1억원 상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