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인천공항 1터미널 리모델링, '불가피한 선택인가, 예산 폭증 논란인가'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5.08.18 16:4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2001년 개항한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이 24년 만에 대규모 리모델링에 들어간다. 총사업비는 2조8466억원. 설비 수명은 이미 임계점을 넘어섰다. 기계설비 87%, 통신시설 93%, 전기설비 83%, 수하물처리시스템(BHS) 94%가 내구연한을 초과했고, 최근 누수·전력계통 고장 사례가 잇따랐다. 업계에서는 “부분 보수가 아니라 전면 개보수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5464w.jpg
인천국제공항 전경 사진=연합뉴스

 

해외 주요 허브 공항도 개항 후 25~30년 주기로 대규모 개보수를 진행한다. 인천공항은 올해로 24년 차에 접어들어 국제 기준상 적기에 해당한다. 2033년 공사가 완료되면 여객 처리 효율이 10% 이상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설계는 희림, 시공사는 아직 '입찰과정 공정성 관건'


2024년 국제 설계공모에서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컨소시엄이 당선돼 2027년까지 기본·실시설계를 맡는다. 계약금액은 215억원. 다만 실제 시공사는 설계 완료 이후 단계별 입찰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희림의 수주는 정식 공모 절차를 거쳤지만, 일부에서는 '심사 기준의 투명성이 충분했는지', '업체 선정 과정에서 이해충돌 가능성은 없었는지'를 두고 의문을 제기한다. 수천억 원 규모의 후속 공사와 감리 발주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향후 입찰 과정의 공정성 확보가 최대 관건으로 꼽힌다.


총사업비는 애초 1조원 안팎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기본설계 반영 이후 물가 상승, 공사 범위 확대, 누락 항목 보완 등이 더해지며 2조8천억원으로 급등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예상보다 건설 단가가 크게 올랐고, 늘어나는 항공 수요에 맞춰 시설 확충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치권과 시민단체는 “3배 가까이 불어난 예산 근거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압박한다. “불가피한 비용 증가인지, 관리 실패인지 따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리모델링 추진은 ▲국토교통부의 공항개발종합계획 반영 ▲기획재정부·KDI의 예타 및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인천국제공항공사 발주·집행 등 3단계 절차를 거쳤다. 최종 집행 책임은 공항공사에 있지만, 예산 증액과 같은 정책적 결정에는 국토부·기재부·KDI가 모두 관여했다.


이 때문에 비용 폭증과 업체 선정 논란은 특정 기관을 넘어 정부 정책 신뢰 전반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리모델링 필요성 자체에는 이견이 적다. 다만 시기적 부담은 여전하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국가 재정 압박, 항공 수요 회복세 불확실성, 공사 중 서비스 차질 우려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필요성과 불가피성은 인정되지만, 비용 산정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다면 국민적 불신을 살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또 “수천억 원대의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절차와 심사 과정에서 공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정책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며 “공사 중에도 서비스 차질을 최소화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인천공항 1터미널 리모델링은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수선’이라는 평가와 ‘예산 관리 실패’라는 비판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고 있다. 이번 결정이 글로벌 허브로서 인천공항의 위상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지, 아니면 또 다른 공공투자 논란으로 남을지는 향후 집행 과정의 투명성과 성과에 달려 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먹튀주유소 5년간 675억 탈세… 실제 추징은 고작 1%”
  • 마사회, 마권 구매한도 ‘1회 10만원’ 위반 1만여건… 솜방망이 처분
  • 추석 선물, 중고로 팔았다가 ‘범법자’ 될 수도
  • 추석 명절 음식  칼로리 1위는?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인천공항 1터미널 리모델링, '불가피한 선택인가, 예산 폭증 논란인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