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국정원) 발주 연구개발(R&D) 과제를 수행하던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소속 연구원이 보안자료를 외부로 유출하려 한 정황이 포착돼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의원이 KAIS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지방검찰청은 지난 2월부터 해당 연구원 A씨를 상대로 수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사건은 지난해 12월 연구소 내부에서 “A씨가 연구자료를 외부로 반출하려 한다”는 신고가 접수되면서 시작됐다.
이후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올해 1월 우주청과 국정원에 보안사고 발생 사실을 보고했고, 합동 조사를 통해 A씨가 보안문서 암호를 임의 해제하고 대량의 연구자료를 개인 PC에 다운로드했으며, PC를 외부 인터넷망에 연결하려 하거나 포맷한 흔적이 드러났다. 연구소는 즉시 대전지검에 수사의뢰서를 제출했고, 검찰은 2월 27일 수사에 착수했다. 3월에는 인공위성연구소 등에 대한 압수수색도 진행됐다.
A씨는 현재 직무에서 배제된 상태다. 그는 “연구소 밖에서도 일을 하기 위해 자료를 가져갔다”는 취지로 해명했으나, 연구소와 수사기관은 개인적 동기 외에 제3자 전달 가능성까지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최민희 의원은 “국정원 과제 같은 안보 핵심 연구에서 자료 유출이 시도된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단순히 개인의 일탈로 끝낼 것이 아니라, 다른 이해관계나 조직적 개입 가능성까지 철저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최근 공공 연구기관에서도 보안 통제가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을 드러냈다. 특히 KAIST가 국정원과 함께 인공위성·지상국 대상 사이버보안 협력에 나서던 시점에서 발생한 사건이라는 점에서, 연구기관 내부의 디지털 보안 관리, 개인기기 반출·저장 규정, 로그 모니터링 체계 재정비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부는 이미 ‘제5차 산업기술보호 종합계획(2025~2027년)’을 통해 산업·안보 기술의 보호 방안을 마련 중이다. 하지만 이번 사례처럼 개인 PC 반출과 외부망 연결 등 현장 차원의 구체적 위협을 제도적으로 얼마나 반영할 수 있을지가 향후 과제가 될 전망이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