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격 선수들이 사용하는 경기용 실탄 3만 발을 몰래 빼돌려 불법 유통시킨 혐의로 시체육회 소속 사격 감독이 구속되면서 체육계 관리 부실 논란이 커지고 있다.

경기북부경찰청 형사기동대는 1일 총포·화약류 단속법 위반 혐의로 지역 시체육회 소속 실업팀 사격 감독 A 씨(40대)를 구속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A 씨는 자신이 관리하던 선수용 실탄 약 3만 발을 불법으로 빼돌려 전 국가대표 감독 B 씨에게 다량 건네고, 이 과정에서 유통업자들에게 흘러들어가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올해 1월 “유해조수 사냥 과정에서 불법 유통된 22구경 실탄이 사용되고 있다”는 첩보를 입수해 수사에 착수했으며, 수사 결과 B 씨는 실탄을 유통업자들에게 전달했고, 해당 실탄이 실제 사냥에 쓰인 것으로 드러났다. B 씨는 현재 지병으로 숨진 상태다.
경찰은 지금까지 총 11명을 검거하고, A 씨를 포함해 자영업자 3명을 구속했다. 또 불법 보관된 22구경 실탄 4만7000발과 총기 37정을 압수했으며, 이 중 9정은 22구경 실탄을 발사할 수 있도록 개조된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사건은 지난달 22일 사격 국가대표 출신인 진종오 의원이 국회 기자회견을 열면서 본격적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진 의원은 당시 “A 씨가 전 국가대표 감독 B 씨와 공모해 불법 총기 유통업자에게 경기용 실탄 3만 발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체육계 총기·실탄 관리 체계 전반에 의문을 제기했다.
체육계 안팎에서는 이번 사태를 단순한 개인 범죄로만 볼 수 없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대한체육회는 “총기·실탄 관리 책임은 경찰청 소관”이라며 관리 책임을 부인했지만, 국가대표 선수촌과 체육회 산하 실업팀에서 사용되는 실탄 관리가 분리돼 있는 현 체계가 근본적인 허점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부와 체육계는 실탄·총기 관리 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체육회와 경찰청 간 책임 공백을 해소할 제도적 보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