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젊은 임원 가장 많은 기업은 ‘네이버’

  • 류근석 기자
  • 입력 2019.12.12 13:5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기업의 임원은 기업의 살림과 먹거리를 책임지는 실질적인 리더들이다. 최근 젊고 혁신적인 인재들이 임원으로 발탁되면서 세대교체가 한층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자리는 고령의 인사들이 차지하고 있다. 국내 대표 기업 가운데 젊은 리더들이 많은 조직은 어디일까?

시가총액 상위 48개 기업(금융사 제외)의 임원현황을 조사한 결과, 네이버가 가장 젊은 리더 조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의 임원은 총 93명으로 이들의 평균 연령은 1973년생(46세)이었다. 가장 고령 조직인 GS그룹(66세)과는 20세나 차이가 났다.

 이어 넷마블(47세), 엔씨소프트(49세), 카카오(49세) 등 IT 기업들의 리더들이 젊었다. 아모레퍼시픽(50세), SK텔레콤(51세), 롯데쇼핑(51세), 셀트리온(51세), CJ제일제당(52세), SK(52세), 삼성전자(52세), 현대중공업지주(52세) 등도 조사기업 평균연령인 53세보다 젊은 조직에 속했다.

 가장 연령이 높은 기업은 GS로 임원들의 평균 연령이 66세였다. 한국전력(61세), 강원랜드(59세), 고려아연(58세), POSCO(57세), 현대건설(56세), 삼성중공업(56세), 삼성엔지니어링(56세) 등이 임원 평균 연령이 높았다.

 가장 젊은 임원은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의 아들인 서준석 이사(32세)와 서진석 수석부사장(35세)이었다. CJ제일제당의 이경후 상무와 SK텔레콤 김지원 상무도 34세로 30대 임원이었다. 최근 인사에서는 LG생활건강에서 심미진 상무가 34세 나이로 임원에 올라 눈길을 끌은 바 있다.

 여전히 임원 승진에 있어 여성에 대한 벽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48개 기업 가운데 여성임원이 한명도 없는 곳은 27%(13곳)에 달했다. 현대모비스, 현대중공업지주, 현대글로비스, 현대건설, 현대제철 등 현대 주요 계열사들은 유리천장이 타사 대비 높았다.

 이외에도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한국조선해양, 고려아연, 강원랜드, GS, 삼성엔지니어링, 에스원 등도 여성 임원이 한명도 없었다.

 반면 아모레퍼시픽은 54명의 여성임원을 배출했으며, 전체 임원 대비 여성임원 비율도 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CJ제일제당(17%), 카카오(14%), 네이버(13%), LG생활건강(13%), 삼성SDS(11%), 엔씨소프트(10%) 등도 여성임원 비율이 높았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이상헌의 성공창업경제학] 폐업 소상공인 지원정책의 전환점
  • 겨울에도 ‘얼죽동’! 농심, 배홍동 윈터 프로모션 실시
  • 스마트상점 도입하니 매출 10%↑…경기도 1040곳 ‘디지털 전환의 기적’
  • 로완, 경도인지장애 환자용 디지털치료기기 ‘슈퍼브레인 DEX’ 식약처 허가
  • 서울대 의대 예상규 교수, 한국세포생물학회(KSCB) 신임 회장 취임
  • 미래에셋 박현주, 신한 진옥동 제치고 ‘K-브랜드지수 금융인 1위’ 올라
  • 우미건설, ‘화성 남양뉴타운 우미린 에듀하이’ 28일 견본주택 개관
  • 김치가 이끈 민간외교… 롯데호텔, 각국 대사 초청 ‘김치의 날’ 오찬 성료
  • 롯데웰푸드, ‘식사이론 진국’으로 컵밥 시장 본격 진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젊은 임원 가장 많은 기업은 ‘네이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