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예방주사는 무료가 아니다. 독감 백신은 국가예방접종이 아니기 때문에 유료접종이 원칙이다. 다만 생후 6개월부터 만 13세 이하 어린이, 임신부, 만 65세 이상 노년층만 독감백신 무료 접종 대상이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3년 만에 처음으로 독감 유행주의보까지 발령되다보니 독감주사를 맞으려는 수요가 많아졌다. 4인 가족의 경우 많게는 20만원 가까이 비용이 들 수 있다.
병원마다 독감백신접종 가격도 다르다. 독감백신은 국내산과 수입산이 있다. 서울시 기준 국산은 3만5천∼4만 원, 수입산은 4만∼4만5천 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마다 가격이 다른 이유는 독감 백신이 비급여 항목으로 예방접종 의료행위에 대한 비용을 병원이 자체적으로 산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가 일괄적으로 백신을 공급하지 않고 병원이 제조사로부터 직접 구매하다보니 가격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병원이 독감백신접종 가격을 공개하고 있지 않아 가격 비교를 하는 것도 쉽지 않다.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 독감 백신 가격 정보를 공유하는 글이 있지만 지역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거주하는 지역의 병원에 일일이 전화로 확인할 수 밖에 없다. 그나마 저렴한 병원을 찾았다 하더라도 교통비와 시간을 감안하면 별 차이가 없다.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건강통계에 따르면 연간 독감 예방 접종률은 2017년 37.5%에서 2018년 40.0%, 2019년 41.9%, 2020년 45.9%로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이후 2년 동안 잠잠했던 계절독감 유행주의보가 이미 발령된 상태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독감이 확산할 우려가 커 방역당국이 고위험군의 적극 예방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BEST 뉴스
-
아모레퍼시픽 1위…한국콜마 하락·코스맥스 상승
국내 화장품 상장사 브랜드 순위에서 아모레퍼시픽이 1위를 지켰다. 한국콜마는 순위가 내려간 반면, 코스맥스는 상승세를 보이며 상위권 판도를 흔들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래드연구소 제공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6일 ‘K-브랜드지수’ 화장... -
서울시 공공배달앱 ‘땡겨요’, 소상공인 지원 취지 무색…불만과 논란 지속
땡겨요 로고 서울시와 신한은행이 함께 만든 공공배달앱 ‘땡겨요’가 도입 2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의 불만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출범 당시에는 민간 배달앱의 과도한 수수료(최대 7~8%)를 줄이고 소상공인을 지원한다는 취지였으나, 실제 현장에... -
한전기술–남동발전, ESG 감사 역량 강화 손잡았다
한국전력기술과 한국남동발전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를 위해 감사 업무 분야에서 손을 맞잡았다. 3일, 한국전력기술과 한국남동발전 감사업무 협약체결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 오른쪽에서 다섯번째 한전기술 윤상일 상임감사, 왼쪽에서 네번째 남동발전 ... -
“칸쵸에서 내 이름을 찾아라”… 롯데웰푸드, 참여형 이벤트 진행
롯데웰푸드가 초코과자 ‘칸쵸’에 소비자 이름을 새기고, 이름 찾기 이벤트를 진행한다. 롯데웰푸드 칸쵸 ‘내 이름을 찾아라’ 제품 연출컷 사진=롯데웰푸드 제공 이번에 새겨진 이름은 최근 국내에서 많이 등록된 신생아 이름 500개와 칸쵸 공식 캐릭터 이름 4개 등 총 50... -
까르마, KLPGA 메이저 KB금융 스타챔피언십 후원 우승·홀인원 선수에 모션베드 증정
메모리폼 매트리스 침대 전문 브랜드 까르마(CALMA)가 25년 9월 4일부터 7일까지 블랙스톤CC에서 펼쳐지는 국내 여자 프로골프 메이저 대회인 ‘KB금융 스타챔피언십’의 공식 스폰서로 참여한다. 사진=까르마 KB금융 스타챔피언십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
농심 1위·대상 TOP10 신규 진입…식음료 상장사 브랜드 순위 재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2일 발표한 ‘K-브랜드지수’ 조사에서 식음료 상장사 부문 1위에 농심이 올랐다고 밝혔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 브랜드 평가 시스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