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트하우스' '오! 삼광빌라!' '스위트홈' 등 2021년 방송되거나 예정인 드라마 · 예능 소재가 모두 '집'을 행해 있다. 왜 '집' 소재의 방송 프로그램들이 뜨는 걸까.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집(Home)'을 소재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귀신이 출몰하는 부동산을 퇴마한 후 판매한다는 생활밀착형 퇴마 드라마 '대박부동산'도 장나라 정용화 주연 확정으로 올 상반기 중 방송 예정이다.
드라마뿐만 아니다. 예능에서도 집 소재의 프로그램은 다양하다. KBS2 '땅만 빌리지'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예인들이 대자연을 품은 강원도 양양군의 땅을 빌려 각자의 로망이 담긴 세컨드하우스를 짓고 마을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담았다.
jtbc '서울엔 우리집이 없다'라는 프로그램은 잊고 있었던 '집'의 본질을 되새겨 보고 각자의 마음속에 간직한 드림 하우스를 찾아 떠난다는 점에서 '땅만빌리지'와 닮은 꼴이다,
sbs '나의 판타집' 역시 맥락은 통한다. 출연자가 평소 로망으로 꿈꾸던 '워너비 하우스(판타집)'와 똑같은 현실의 집을 찾아, 직접 살아보면서 자신이 꿈꾸는 판타지의 집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담은 관찰 프로그램이다.
집에 대해 한 발짝 더 들어간 프로그램도 있다. 나만의 공간인 '집'의 물건을 정리하고 공간에 행복을 더하는 노하우를 함께 나누는 프로그램인 tvN '신박한 정리'는 집을 소재로 한 방송이다.
그 밖에도 좋은 조건의 주택을 알아봐 주는 '구해줘! 홈스' 역시 본격적으로 집값을 소재로 인기를 얻고 있다. SBS MTV '아이돌집' KBS2 옥탑방의 문제아들' '살림하는 남자들' '방구석 1열'처럼 프로그램 제목에 '집' 또는 '홈' '방'을 빌려 사용하는 프로그램도 역시 집 소재의 예능 프로그램이라고 엮을 수 있다.
코로나19로 중단되었지만 '한끼줍쇼'나 혼자사는 연예인의 일상을 다룬 MBC '나혼자산다' 전국 방방곡곡 동네를 돌며 집집마다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듣는 KBS 김영철의 '동네한바퀴'도 '집'소재로 인기를 얻었다.
이호준 문화 평론가는 "'집' 소재 드라마는 사회적 현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코로나19로 '집콕' 생활이 길어지면서 '재택근무' '홈트' '집밥' '홈웨어' 등 집에서 해결해야 할 일 늘어나고 있다"면서 "부동산 값 폭등 등 불안한 주거 문제로 인해 '소유'가 아닌 '삶 자체'라는 집의 의미에 대해 발상의 변화가 사회적인 트렌드로 작용한 부분"이라고 진단했다.
BEST 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도심항공교통(UAM) 도입과 드론 물류 확대를 앞두고, 공항·항만·발전소·가스 시설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이 밀집한 인천 지역에서 불법 드론 대응 체계가 시설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 -
[단독] 삼양 ‘1963 라면’, 정통성 복원 외쳤지만… 팜유·우지 혼합 ‘골든블렌드’ 논란
삼양식품이 브랜드 탄생 61주년을 맞아 '정통성 복원'을 내세우며 출시한 신제품 ‘삼양라면 1963’이 출시 직후 예상치 못한 논란에 마주쳤다. 김정수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식품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지 유탕으로 만든 삼양 1963을 소개하고 있다....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이디야커피가 보이그룹 ‘보이넥스트도어’와 협업해 선보인 콜라보레이션 음료가 출시 직후 높은 관심을 얻고 있다. 이미지=이디야커피 제공 이디야커피는 지난 28일 협업 음료 2종을 출시했다. 일부 매장에서는 개점 직후 음료 구매를 위한 이른 방문이 이어졌고, 음료 구매 시...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위조 서류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은 ‘젊은 건축가상’ 수상자에 대한 조치가 3년 만에야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수상 취소 사유가 법적으로 명백했음에도 문화체육관광부는 사실상 아무 대응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조국... -
[단독] 대웅제약 ‘에너씨슬 집중샷’, 수험생 불안 팔아 공격적 마케팅…과연?
2026학년도 수능을 앞두고 포털 검색창에 ‘수험생 영양제’를 입력하면 가장 먼저 등장하는 제품은 대웅제약의 ‘에너씨슬 집중샷’이다. 네이버와 쿠팡, 올리브영 등 주요 플랫폼 상단을 장악한 이 제품은 “몰입력 UP 수험생 필수템”, “1등급 학생들이 함께한 집중 루틴”, “4,000,000포 판매 돌파”라는 자극적인 문구로 학...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해양수산부가 예산 3억8천여만원을 들여 개발한 국립등대박물관 전시 안내 앱이 출시 후 사실상 활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금주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국회 문금주 의원(더불어민주당·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