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1인 가구 청년의 고혈압 발생 위험 다인 가구 청년의 1.4배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1.10.06 20:43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1인가구 청년의 고혈압 발생위험이 다인가구 청년의 1.4배인 것으로 밝혀졌다. 1인가구청년은 특히 총 섭취열량 대비 지방 섭취 비율이 높았다. 


3698601005_20170314081138_4627320623.jpg
1인가구 추천 식단 모음 사진=동원홈푸드 제공

 

을지대 식품영양학과 백진경 교수팀이 2016∼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30대 청년 5325명을 대상으로 가구 구성원 수별 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젊은 성인층의 단독가구와 다인 가구에서 고령호발질환유발 위험요인 비교 연구)는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백 교수팀은 가구구성원의 수를 기준으로 청년을 1인(단독) 가구와 다인 가구로 분류했다. 20∼30대 1인가구의 비율은 9.4%(500명)였다. 이들의 총열량 대비 지방섭취비율은 25.1%로, 높게 나타났다. 열량 1000㎉ 섭취당 식이섬유 섭취량은 9.9g으로 낮았다. 평균 허리둘레는 80.6㎝, 이완기 혈압은 75㎜Hg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1인가구청년의 고혈압발생 위험은 2인 이상의 가구의 1.4배였다.  백 교수팀은 논문에서 “20∼30대 1인 기구는(젊은 덕분인지) 건강상의 특별히 심각한 문제를 보이진 않았다”며 “1인가구청년의 건강행태나 영양소 섭취상태 등을 봤을 때 나이 든 후 고혈압 등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므로 예방 등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외식빈도와 아침 결식률에서도 청년1인가구와 다인가구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주 3회 이상 아침을 먹는 비율이 다인가구는 53.6%였지만, 1인가구에선 37.0%에 그쳤다. 외식빈도는 하루에 1번 이상하는 비율이 1인가구는 57.6%, 다인가구는 35.1%였다. 


백 교수팀은 논문에서 “20~30대가 아침을 거르면 아침을 챙겨 먹는 또래보다 이상지질혈증 위험이 1.2~1.4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며 “칼로리와 지방이 많은 패스트푸드로 아침식사를 하면 고혈압ㆍ이상지질혈증의 발생에 기여하는 산화 스트레스(활성산소)가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 관계자는 "1인가구청년이 '혼밥'을 주로 들게 되면 인스턴트음식 섭취나 빠른 식사 속도, 폭식 등 부적절한 식습관을 갖게 되기 쉽고 이는 건강상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추석 선물, 중고로 팔았다가 ‘범법자’ 될 수도
  • 추석 명절 음식  칼로리 1위는?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 보훈급여 부정수급 47억 신규 적발
  • 김건희 일가 운영 요양원, 노인학대 판정서 공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1인 가구 청년의 고혈압 발생 위험 다인 가구 청년의 1.4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