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두가 패배\"…우크라·중동 전쟁 두고도 평화의 목소리
21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즉위 이래 정치·종교 분쟁으로 얼룩진 세계 곳곳에 평화와 화합, 공존의 씨앗을 뿌렸던 종교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교황은 반세기 넘게 적대관계에 있던 미국과 쿠바 간 국교 정상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두 국가는 2013년부터 비밀리에 국교 정상화 협상을 진행했지만, 불신의 골이 깊은 터라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
교황은 이러한 교착 상태를 타개하고자 2014년 초부터 막후에서 중재 외교를 가동했다.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피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에게 직접 서한을 보내 결단을 촉구하는가 하면 양국 대표단을 바티칸으로 초청해 접점을 찾도록 도왔다.
최초의 라틴아메리카 출신 교황과 언어·문화·종교적 정서를 공유하는 쿠바는 물론 미국도 교황의 중재에 적극적으로 호응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조 바이든 당시 부통령의 존재가 교황의 중재 노력에 힘을 실어준 것도 사실이다.
미국과 쿠바는 대사관 재개설 등을 위한 추가 협상을 거쳐 국교 정상화 선언 6개월 뒤인 2015년 6월 말 수교에 합의하며 외교관계의 새 지평을 열었다.
교황은 2017년에는 로힝야족 추방으로 '인종청소' 논란이 불거진 미얀마를 찾았고, 2019년에는 무슬림 국가인 모로코도 방문했다.
교황은 수니파 극단주의 테러조직 이슬람국가(IS)의 폭력으로 심각한 피해를 본 이라크 북부 도시들을 찾아 전쟁 희생자들을 위로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평화와 화합을 위한 행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터졌던 2020년을 제외하고 쉼 없이 이어졌다.
80대 후반의 고령인 그에게 해외여행은 체력적으로 만만치 않은 부담이지만 그는 갈등이 있는 곳이면 어디라도 찾아갔다.
미얀마, 북마케도니아, 아랍에미리트, 이라크, 바레인, 남수단 6개국은 프란치스코 교황 이전에 역대 교황 그 누구도 방문한 적이 없는 국가들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또 한 번 국제적 갈등 해결을 위한 중재 역할을 요구받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것이다.
2022년 2월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으로 전쟁이 발발한 이래 교황은 공식 석상에서 거의 빠짐없이 전쟁 종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파했다.
단순히 메시지만 전한 것은 아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러시아로 끌려간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의 귀환을 주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2023년 5월에는 마테오 주피 추기경을 평화 특사로 임명해 우크라이나 평화를 위한 중재 노력을 이어갔다. 같은 해 6∼7월엔 이탈리아 볼로냐 대교구장이자 이탈리아 주교회의 의장인 주피 추기경이 우크라이나 키이우, 러시아 모스크바, 미국 워싱턴을 차례로 방문했고, 9월에는 중국 베이징을 찾아 평화 임무를 수행했다.
교황의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 노력은 아직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평화를 향한 그의 호소는 쉼 없이 이어졌다.
교황은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를 규탄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막대한 군사·경제적 지원으로 러시아의 패배를 추구하는 서방을 향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교황은 "전쟁은 언제나 패배하며 아무도 이기지 못하고 모두가 패배한다. 오직 무기 제조업자만 승리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쟁이 인류 절멸을 초래할 핵전쟁으로 번지지 않도록 교황은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 협상을 꾸준히 촉구했다.
교황은 신냉전 군비 경쟁으로 기후 위기와 식량 안보, 난민 등 시급한 지구적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자원과 에너지를 헛된 곳에 낭비하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23년 10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전쟁이 발발했을 때도 하마스의 민간인 유린을 규탄하는 동시에 가자지구의 숱한 민간인 사상자와 인도적 비극을 초래한 이스라엘의 무력 대응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당시 교황은 아이작 헤르조그 이스라엘 대통령과 비공개 통화를 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상대로 "테러를 저지르지 말 것"을 경고했다. 헤르조그 대통령이 자국민 방어 목적이라고 얘기하자 민간인 희생을 초래한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교황은 언제나 무고한 희생자들, 전쟁의 결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가까이 다가가려고 노력했다. 교황은 기본적으로 정의로운 전쟁은 없다는 입장이다.
전 세계 가톨릭 신자 14억명을 거느린 로마 가톨릭의 수장이자 세계적인 영적 지도자인 교황은 분쟁과 다툼의 장벽을 허물고 다리를 잇는 사람, 즉 '평화의 사도'로 불린다.
교황을 뜻하는 라틴어 '폰티펙스'(Pontifex)는 '다리를 놓는 사람'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전 세계에 크고 작은 분쟁이 잦아들지 않는 상황에서 평화를 외치던 프란치스코 교황의 부재는 인류의 뼈아픈 손실로 남게 됐다. 연합뉴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 -
[단독] FDA에 이름 오른 '에이피알'… 'K-뷰티 신화'에 드리운 먹구름
에이피알(APR) 김병훈 대표 사진=연합뉴스 ‘메디큐브(Medicube)’로 대표되는 에이피알(APR)은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K-뷰티의 새로운 신화를 써 내려가고 있다. 에이피알을 이끄는 김병훈 대표는 ‘디지털 감각’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SNS 중심의 브랜드 확산 전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