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포함 ‘금수저’ 미성년자 3300명, 부동산 임대로 600억 벌었다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09.11 23:2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지난해 국내 미성년자 3300여 명이 부동산 임대소득으로 593억 원을 벌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0~1세 영유아까지 포함돼 눈길을 끌고 있다.

 

 

PYH2025090707170001300.jpg
사진=연합뉴스

 

1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수원시병)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23년 귀속 부동산 임대소득을 신고한 미성년자는 3313명, 총 임대소득은 593억 7000만 원이었다. 1인당 연간 평균 임대소득은 1760만 원 수준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미취학 아동(0~6세) 311명이 총 45억 8100만 원을 벌었고, 특히 0~1세 영유아 11명도 1인당 평균 1355만 원을 벌었다. 초등학생(만 7~12세) 1038명은 168억 9400만 원, 중·고등학생(만 13세~18세) 1964명은 378억 9300만 원의 임대소득을 올렸다.


사업소득도 늘고 있다. 2023년 귀속 사업소득을 신고한 미성년자는 1만 3744명으로 전년 대비 2400명 증가했으며, 총액은 595억 5800만 원이었다. 고등학생(16~18세)이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미취학 아동 110명과 초·중학생도 각각 8억 2600만 원, 68억 1800만 원을 벌었다.


김영진 의원은 “최근 조기 상속·증여 영향으로 미성년자 부동산 임대소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까지 사업소득을 신고하는 상황”이라며 “국세청은 변칙 상속·증여 여부를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024년 귀속 부동산 임대소득 현황은 오는 12월 공개될 예정이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 무대 추락·장비 사고 반복되는데… 예술인 보호장치는 ‘0’ 수준
  • 의료관광은 늘었는데… 법은 15년 전 그대로
  • 교사 579명 음주운전… 만취 상태여도 대부분 교단 복귀
  • 동서식품, ‘컬러 오브 맥심’ 한정판 패키지 출시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영유아 포함 ‘금수저’ 미성년자 3300명, 부동산 임대로 600억 벌었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