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5년간 폐기된 화폐, 에베레스트 77배 높이…13조5000억 원 달해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10.03 14:4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지난 5년간 한국은행이 폐기한 손상 화폐 규모가 13조5000억 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폐만 16억5700만 장, 주화는 3억700만 장이 버려졌다. 폐기된 화폐를 쌓으면 에베레스트산의 77배 높이에 달한다.


58e8168acfc4b_O.jpg
화폐 사진=연합뉴스 / OGQ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부산 북구을)이 한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 6월까지 손상돼 폐기된 화폐는 총 19억6400만 장으로 액면가 13조5636억 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지폐가 16억5700만 장(13조5250억 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주화는 3억700만 장(386억 원)이었다. 연도별로는 2021년 4억300만 장, 2022년 4억1300만 장, 2023년 4억8400만 장, 2024년 4억7500만 장이 각각 폐기됐다. 올해는 6월까지 1억8900만 장이 처리됐다.


폐기된 화폐를 일렬로 늘어놓으면 길이가 24만4737㎞로, 경부고속도로(415㎞)를 295회 왕복할 수 있다. 높이로 쌓으면 67만9292m로, 에베레스트산(8849m)의 77배, 롯데월드타워(555m)의 1224배에 달한다.


한은에 따르면 손상된 지폐는 불에 타거나 장독대에 보관 중 습기에 젖은 경우가 많았고, 동전은 연못에 던져진 것들이나 폐차장에서 나온 경우가 상당수였다.


폐기 지폐는 소각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하는 반면, 주화는 비철금속 업체 등에 판매돼 수익으로 이어진다. 실제 최근 5년간 지폐 소각에는 4억2000만 원이 투입됐고, 주화 매각 대금은 199억1000만 원이 잡혔다.


박성훈 의원은 “현금 사용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매년 수억 장의 지폐와 동전이 불에 타거나 찢겨 폐기되는 것은 심각한 낭비”라며 “손상 화폐 교환과 폐기로 인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국은행이 대국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추석 선물, 중고로 팔았다가 ‘범법자’ 될 수도
  • 추석 명절 음식  칼로리 1위는?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 보훈급여 부정수급 47억 신규 적발
  • 김건희 일가 운영 요양원, 노인학대 판정서 공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5년간 폐기된 화폐, 에베레스트 77배 높이…13조5000억 원 달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