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피해, 여전히 60대 이상이 최다.. 전체의 37% 차지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10.04 16:2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20, 30대 피해도 빠르게 증가, 최근에는 남성 피해 비율이 더 높아져
  • 허영 의원, “올해 피해 규모 급증... 금융당국·경찰의 각별한 대응 필요

5c6e5577e8125_O.jpg
보이스피싱 일러스트=연합뉴스/OGQ


더불어민주당 허영 국회의원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이후 보이스피싱 피해구제 신청 현황(연령·성별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7만8,781건 중 60대 이상이 2만 9,688건(37.6%)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50대 피해자가 2만 5,327건(32.1%)으로, 전체 피해의 약 70%가 50대 이상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동안 보이스피싱 피해는 고령층 피해가 두드러졌으나, 최근에는 20 ‧ 30대 피해자도 빠르게 늘어나 2020년대 초반 4%대에 머물던 비율이 2024년 말 기준 20대 10.5%, 30대 9.1%로 두 자릿수에 육박했다.


성별 분석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2020~2022년에는 여성 피해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지만, 최근 들어 남성 피해가 급증하면서 오히려 남성이 더 높은 비율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2021년 이후 매년 1만2천~1만3천 건 수준을 유지하던 피해 건수가, 2025년 상반기에만 이미 1만 건을 넘어 심각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보이스피싱 사례가 상반기에 이미 예년 수준에 달할 만큼 늘어난 현상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최근 ‘카드 배송이나 등기우편 배송’을 사칭한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 확산을 지목했다. 또한 20, 30대에서는 검찰이나, 금융 감독기관 등‘기관사칭형’사기 사례가 증가하며,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허영 의원은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는 여전히 60대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대면 전달’, ‘비계좌형’ 방식 등의 ‘기관사칭형’ 사기가 20 ‧ 30대 젊은 세대까지 확산되어 세대 전반에서 피해가 급증하고 있고, 사기 수법도 고도화되는 양상”이라며 “한가위 명절을 앞두고 피해사례가 더욱 커질 가능성이 큰 만큼 금융당국과 경찰의 긴밀한 공조 대응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 보훈급여 부정수급 47억 신규 적발
  • 김건희 일가 운영 요양원, 노인학대 판정서 공개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최소 19명 더… “축소·은폐 전형” 비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보이스피싱 피해, 여전히 60대 이상이 최다.. 전체의 37% 차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