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보상률 5.5% 전국 최하위… 경남은 100%

화재나 구조 활동 중 불가피하게 시민 재산을 훼손한 소방관들이 국가에 손실보상을 청구한 건수가 최근 5년간 572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상률은 지역별 편차가 커, 일부 지역에서는 청구액의 5%만 지급된 반면 전액 보상된 곳도 있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대전 대덕구)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1~2025년 상반기 소방 손실보상 처리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접수된 손실보상 청구는 572건으로, 이 중 408건만 보상됐다.
소방 손실보상 제도는 소방관이 화재 진압이나 구조 활동 등 적법한 공무 수행 중 불가피하게 사유재산에 손실을 입힌 경우, 국가가 이를 대신 보상하는 제도다. 그러나 전체 청구 금액 약 10억5000만원 중 실제 지급된 금액은 3억7000만원으로, 보상률은 36%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강원도의 보상률이 가장 낮았다. 강원도는 3억3000만원가량의 손실보상 청구 중 실제로 지급된 금액이 1800만원에 그쳐 5.5%의 보상률을 기록했다. 반면 경상남도(창원소방본부 포함)는 1700만원 청구액 전액을 지급해 보상률 100%를 보였다.
소방청이 지급한 보상 중 가장 큰 금액은 2023년 3월 경기도 용인에서 화재 진압 중 훼손된 골프장 그린 보상비 3200만원이었다. 그 밖에도 ▲2023년 울진 산불 당시 나무 데크·출입문 파손 보상 2800만원, ▲서울 성북구에서 구조 과정 중 차량 강제 처분으로 인한 수리비 19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미보상 사례 중 가장 큰 건은 2021년 12월 강원 강릉의 한 펜션 화재 진압 중 중장비 투입으로 건물이 전소된 사건이었다. 당시 펜션 주인은 3억1000만원을 청구했으나, 법원은 강원소방본부의 손을 들어줘 보상이 이뤄지지 않았다.
또 2024년 9월 인천 남동구의 한 상점 수족관에서 발생한 ‘가오리 폐사’ 건도 주목됐다. 당시 합선 위험으로 소방관이 단전·단수 조치를 하자, 상점 측은 “가오리 10마리가 죽었다”며 2500만원을 청구했지만, 인천소방본부는 “소방 활동과 폐사 간 인과관계가 입증되지 않았다”며 보상을 거부했다.
박정현 의원은 “화재 진압이나 구조·구급 과정에서 국민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지만, 그 부담은 소방관 개인이 아닌 국가가 져야 한다”며 “손실보상 청구 절차를 간소화하고 심의 기준을 구체화해야 소방공무원의 정당한 공무집행과 시민의 재산을 함께 보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