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업 인구 600만 시대인 요즘, 많은 예비 창업자들에게 이보다 더 매력적인 말이 또 있을까?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시기가 앞당겨짐에 따라 창업으로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인구가 급증하며 창업 경쟁 또한 과열되고 있다.
창업 열기 속에 다양한 아이템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그만큼 매출 부진 등의 이유로 폐점률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3월 경제동향'을 보면, 진입 장벽이 낮아 많이 진출하는 음식점의 경우 창업 대비 폐업률이 94.3%에 달해 실패할 확률이 가장 높은 업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실 속에 예비창업자들은 진입 장벽이 낮고 경쟁이 심한 외식업보다는 새로운 서비스 분야의 창업 아이템, 보다 전문화된 아이템으로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소규모로 창업이 가능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두피 탈모 관리 프랜차이즈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친환경 두피센터 프랜차이즈 기업 ㈜닥터스(대표 박갑도, www.doctors.pe.kr)는 가맹비, 로열티, 임대 및 인테리어 등을 모두 합쳐 1억 원~1억 5천 만원으로써 업계 최저의 투자비로 창업이 가능하다. 자체 개발된 진단 및 관리 프로그램의 공유와 총판가로 공급되는 제품, 전문인력 지원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 두피 관리 샵이 너무 비싸 소비자들이 접하기 어렵다는 이미지에서 벗어나고자, 5천 원으로 두피 검사와 스케일링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등 대중화를 추구하며 창업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신선한 아이템으로 거듭나고 있다.
실제 ㈜닥터스는 업계 최저의 투자비에도 불구하고 차별화 된 시스템과 탁월한 고객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오픈 첫 달 1억 원 이상의 매출을 돌파한 장안 직영점, 당진 가맹점, 동탄 가맹점 등의 매장에 이어 성공 케이스를 계속 더해가고 있다.
㈜닥터스는 가맹 사업 1년 만의 50여개의 가맹점 오픈을 통해 두피 탈모 관리 업계 최초로 한국기록원의 공식 인증에 대한 절차를 밟고 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