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형평성 잃은 K방역에 벼랑 끝 몰린 돌잔치 업계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1.01.13 17:1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전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우리나라의 방역 정책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고 있지만, 헬스장 업종에 이어 돌잔치 업계까지 형평성 없는 K방역에 대해 볼만을 제기했다.  


헬스장을 운영하는 관계자들이 모여 촛불집회를 하는 등 정부의 K방역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고 집단행동을 하자 13일부로 헬스장 등 일부 업종이 영업을 재개했다. 하지만, 돌잔치 업계는 이 조치에서조차 제외됐다.

 

2049646188_20180403162355_7283761384.jpg
글로벌쉐어와 한국미혼모가족협회가 진행한 미혼모 가정 아기 돌잔치 현장 사진출처= 글로벌쉐어

 

일반음식점이나 결혼식장, 장례식장과는 달리 돌잔치 업계는 여전히 형평성에 맞지 않게 영업을 하지 못한 채 소외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돌잔치 업계는 매일 영업하는 일반음식점과 다른 주 1회 또는 2회 영업장임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영업을 중단하라는 정부의 방역지침에 불만을 제기했다. 

 

돌잔치 관련 업계 관계자는 "일반음식점보다 더 넓은 면적에서 인원들을 수용함에도 영업 금지를 당했고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장과 동일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인데도 오히려 차별을 당했다"면서 "게다가 돌잔치 전문점은 소상공인에 포함되지 않아 각종 정부 지원에서 배제되며 차선책이라 할 수 있는 배달 및 비대면 영업도 불가한 업종"이라고 토로했다. 

 

돌잔치 업계 종사자들은 정부의 형평성이 어긋난 지침때문에 갑자기 돌잔치를 중단해야 하는 상황 발생했다고 항변했다. 이로 인해 돌잔치 행사업체 측과 예약자 사이에 예기치 않은 위약금 분쟁이 발생하는 등 피해와 잡음이 끊이지않고 있다고 호소했다. 상호간의 분쟁 사례는 늘어가는데 소비자보호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 측은 중재와 협의만 강조할 뿐 명확히 답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장과는 달리 돌잔치 업계는 규제와 제재만 있을 뿐 문제 해결에 대한 실마리는 요원한 실정이다. 뚜렷한 가이드라인이나 대책이 없다보니 결국 돌잔치 업체와 예약자 양측 모두 피해자인 셈이다.  

  

김창희 돌잔치전문점연합회 회장은 “많은 돌잔치 전문점들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줄도산과 협력업체 직원들까지 연쇄적인 대규모 실직으로 대한민국의 돌잔치 문화가 사라질 위기에 있다”며 "방역 당국은 돌잔치전문점들도 형평성 있게 결혼식장과 동일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적용받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뇌사 장기기증, 5년 만에 최저… 이식 기다림은 길어졌다
  • 휴게소 음식 22건 위반… 도로공사 ‘위생관리 구멍’
  • AI, 석굴암·첨성대 왜곡… “국가 차원 바로잡아야”
  • 깜깜이 ESS 웃돈, 200조 빚더미 한전에 폭탄 추가되는 꼴
  • 해외직구 물품서 방사성 물질 검출… “생활 속 노출 우려”
  • 제주산 말차와 '잠바'의 만남… 시즌 한정 음료 4종 출시
  • ‘부모 찬스 송금’ 3년간 16조원… 증여세 피한 꼼수 의심
  • 바쁜 직장인 위한 ‘3분 커피’… 스타벅스 NOW 브루잉 확대
  • 의사 1명이 ‘91년치 마약류’ 처방… 식약처 “언제부터인지 몰라”
  • 국보도 보험 없다… 목조유산 10곳 중 6곳 ‘무방비’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형평성 잃은 K방역에 벼랑 끝 몰린 돌잔치 업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