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등에 따른 과일 소비 지형 변화 '이색 과일이 뜬다'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1.11.12 11:4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과일 소비 트렌드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과일 소비에 대한 인터넷 동향과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동안 ‘과일’ 관련 인터넷 정보량은 꾸준히 늘었고 올해 정보량만 해도 2019년보다 약 120만건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영등포청과물시장에서는 전통적인 신선 과일의 수요는 줄었지만 명품 포도로 불리는 샤인머스캣과 머스크멜론 등 이색 과일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인기 과일로 떠올랐다. 국민 과일인 사과와 배 가격이 비싸게 형성되자 소비자들이 아예 이색 과일로 눈길을 돌렸다는게 업계는 분석이다. 


2038674650_20210802094206_1579536941.jpg
일본에서 개발되어 최근 국내 경남지역에서 다량 재배중인 샤인머스캣 포도품종 사진출처=굿앤리테일

과일 소비 트렌드가 코로나19 사태 전후로 ‘타인’을 위한 소비에서 ‘나’를 위한 소비로 바뀐 것으로 분석됐다. 선물용으로 타인을 위해 소비되던 과일이 최근 들어 건강이나 다이어트, 치료 등을 목적으로 자신을 위한 소비로 전환됐으며 가격과 영양 성분, 브랜드를 선택 기준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와 같은 성분 표시와 면역력 등도 추가 고려사항으로 거론됐다.


소비 판로 측면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에 따라 코로나19 사태 이후 ‘쿠팡’이나 ‘네이버' 등 온라인 플랫폼 채널에서의 언급이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도와 대비해 올해 쿠팡 언급은 약 26% 증가했으며 네이버, 마켓컬리 등 온라인 플랫폼의 언급도 늘었다. 또한 ‘배달의 민족’의 장보기 서비스 인 B마트를 이용한 과일 소비 언급은 2019년보다 약 6배가량 증가해 판로 다각화를 확인할 수 있다.  


eer.jpg
과일 선호도 변화 자료출처=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올해 복숭아, 수박, 포도의 언급량은 2019년보다 평균 2000여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는 이색 과일 등장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색 과일의 경우 ‘샤인머스캣’을 중심으로 기존 과일 대비 당도를 높인 과일들이 주목받았으며, 특히 샤인머스캣의 온라인 언급량은 2019년보다 약 200%가량 증가했다.


제목 없음.jpg
플랫폼별 과일소비 언급량 자료출처=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또 ‘신비복숭아’, ‘킹스베리 딸기’ 등 생소한 형태의 이색 과일도 높은 온라인 언급량을 보였다. 여름 제철 과일인 ‘수박’, ‘복숭아’, ‘포도’는 봄부터 가을까지 다수 언급됐으며, 소비 계절이 확대되는 변화를 보였다. 이는 기후 변화와 재배 기술 발달로 제철 과일의 지형도가 바뀌면서, 제철 과일 출하 시기가 앞당겨진 영향으로 보인다.


신명식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원장은 “건강, 다이어트, 치료 등을 위해 과일을 소비하는 등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자의 과일 소비 지형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병회 인터파크 신선식품 담당 MD는 “올해 샤인머스캣 등의 이색 과일이 새롭게 인기 상품으로 떠올랐다. 앞으로는 가정 형태, 소비습관 등의 영향이 더해져 보다 다양한 이색 과일이 출시되고 그 카테고리도 더 세부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한미글로벌·터너앤타운젠드코리아 2025년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
  • 탱크톱 입고 어깨 드러낸 신세경…메리츠증권, 부적절한 광고 논란
  • 세금 너무 많이 걷은 국세청, 5년간 34조 원 다시 돌려줬다
  • “육아휴직자 많을수록 불이익”… 공공기관 평가제도 도마에
  • 학교급식 납품업체 813곳 불공정행위 적발
  • 푸마, 도심 러너 위한 ‘어반 러닝 컬렉션’ 출시
  • 소방대원 10명 중 8명 “피복 불만족”… 사기·자긍심 흔들
  • AI와 로봇의 미래가 한자리에… ‘2025 서울AI로봇쇼’ 성황리 폐막
  • 공공참여 내세운 LH, 하도급 피해엔 ‘개입 불가’ 논란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코로나19 등에 따른 과일 소비 지형 변화 '이색 과일이 뜬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