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가 전세계 지배종으로 확산될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기존 백신의 오미크론 대응력에 대한 연구 결과가 연이어 보도되고 있다. 지난 19일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오미크론 변이 초기 연구 결과 아스트라제네카(AZ), 얀센 등 비mRNA 백신이 면역 효과가 거의 없다고 보도했다. 비mRNA 백신에는 중국의 시노팜과 러시아 백신 스푸트니크 V도 포함된다.
영국 연구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백신 접종 6개월 후 오미크론 변이에 면역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얀센 백신도도 오미크론 변이에는 힘을 쓰지 못했다. 중국산 시노팜과 시노백,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V도 오미크론 변이에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화이자와 모더나 같은 mRNA 계열의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화이자 측은 자사의 코로나19 백신으로 부스터샷을 맞으면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예방 효과가 2회 접종 때보다 25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모더나 측도 3차 접종량을 1차 접종량의 절반 수준만 맞아도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할 수 있는 항체 수치가 약 37배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용량을 두 배로 늘리면 효과는 약 83배까지 증가했다. 이들 mRNA 백신은 교차 접종에도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옥스퍼드대에 따르면 AZ 접종 완료 후 모더나를 추가접종하면 면역 효과가 최대 17배 강화된다고 한다.
국내의 경우 1,2차 백신 접종완료자 약 4천2백만명 중 1천2백5십만명이 비mRNA 백신을 접종했다. 접종완료자 중 약 30%가 AZ나 얀센을 접종하다보니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우려가 깊다. 이에 정부가 새로운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기본 접종 때 아스트라제네카(AZ)나 얀센 백신을 맞았더라도 mRNA 백신으로 추가접종(부스터샷)할 경우엔 감염예방 효과가 80% 수준으로 올라간다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후 오미크론 변이에 돌파감염된 사례가 발생했다. 방역당국은 비록 3차 접종을 했는데도 돌파감염이 생겼지만, 중증·사망을 예방하기 위해 3차 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20일 "2차까지 완료한 백신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이냐 바이러스 전달체(벡터) 백신이냐에 따라 (오미크론 변이) 감염 예방효과가 차이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면서도 "3차 접종을 했을 때 모두 감염 예방효과가 80% 수준으로 올라간다고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백신 효과는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감염이 되더라도 중증이나 사망을 예방하는 효과를 포함한다.
방역당국의 조사 결과 국내 12세 이상 내국인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자의 감염·위중증·사망 예방효과를 평가한 결과 3차 접종 후 돌파감염되더라도 미접종자보다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은 91.0%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3차 접종군과 2차 접종군의 중증 또는 사망 진행 위험을 비교해보면 60~74세에서 100%, 75세 이상에서 88.3%까지 낮았다.
3차접종, 즉 부스터샷까지 맞았는데도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경우에 중증과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 방역당국은 국내에서 3차 접종 후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5명 모두 경증이었다고 전했다. 5명 모두 연령대는 60대 미만이고, 그 중 3명은 얀센 1차 접종 후 추가접종했다. 기저질환을 보유한 사람은 5명 중 1명이었고, 현재까지 모두 경증인것으로 나타났다.
비mRNA 계열의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를 방어하지 못한다고 보도한 뉴욕타임즈(NYT)도 모든 종류의 백신이 오미크론 감염으로 인한 중증화를 예방한다고 설명했다.
BEST 뉴스
-
보험사 권유 믿고 갈아탔다 ‘낭패’
이미지=연합뉴스TV 제공 보험사들이 ‘더 좋은 조건’을 내세워 기존 계약 해지를 유도하는 이른바 ‘보험 갈아타기’ 영업이 급증하면서 소비자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충분한 설명 없이 상품을 바꾸게 하는 ‘부당승환’ 행위가 업계 전반으로 번지면서, 보험시장의 건전성과 공정 경... -
[단독] “끈끈이로 변한 골프공”… 볼빅 비비드 컬러볼, 품질 논란 확산
컬러 골프공 시장의 선두주자로 알려진 볼빅(Volvik)의 비비드(Vivid) 시리즈를 둘러싸고 품질 논란이 일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공 표면이 끈적거린다는 불만이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잇따르고 있다. 볼빅 골프공. 끈적임 현상이 생기는 제품은 맨 하단 우측(무광 컬러볼) 사진=류근원 기...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KBS가 올해 실제로는 1,800억 원대 적자를 기록하고도 제작비를 대폭 줄여 ‘1,000억 원 적자’ 수준으로 맞춘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연합뉴스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 남동을)은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장범 사장의 진짜 성... -
휴게소 음식 22건 위반… 도로공사 ‘위생관리 구멍’
한국도로공사가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의 위생점검을 실시하고 있지만, 관리 실태는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불법 납품이나 식품안전 인증(HACCP) 미비 업체의 식자재 사용에도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휴게소의 위생불량상태인 호두과자 기계 (기름찌꺼기, 기름때가 제조기계 ... -
징계자에게도 성과급…음주·성비위도 포함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섭 의원(국민의힘·서울 도봉갑)은 20일 “정무위 소관 5개 금융 공공기관이 징계가 확정된 직원에게도 성과급을 지급해왔다”며 “국민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한 행태”라고 지적했다. 김재섭 의원 사진=김재섭 의원실 제공 김재섭 의원이 중소기업... -
“육아휴직자 많을수록 불이익”… 공공기관 평가제도 도마에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이 최근 3년 동안 육아휴직 대체인력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동아 의원 사진=연합뉴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중기부 국정감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