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는 '암'이었다. 하지만 10대부터 30대 사이의 사망원인 1위는 '극단적 선택(자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루 평균 37명이 스스로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연간 1만3352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 10만명당 자살한 사람 수를 뜻하는 자살사망률은 지난해 26.0명으로 직전년보다 1.2% 상승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였다. OECD 국가 간 자살률 평균 11.1명에 비해 한국은 23.6명으로 가장 높았다.
지난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31만7680명의 사인 중 가장 많은 것은 암(악성신생물)으로, 전체의 26.0%를 차지했다.
이어 심장 질환(9.9%), 폐렴(7.2%), 뇌혈관 질환(7.1%), 고의적 자해(자살)(4.2%), 당뇨병(2.8%), 알츠하이머병(2.5%), 간 질환(2.2%), 패혈증(2.0%), 고혈압성 질환(2.0%) 순이었다.
지난해 호흡기 결핵, 알츠하이머병 사망률이 증가했고, 운수사고와 만성하기도 질환 사망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사망률이 증가한 사망원이은 호흡기 결핵 8.3%, 알츠하이머병 6.2%, 당노병 6.0%, 패혈증 5.7%로 집계됐다. 10년 전보다 사망률이 증가한 원인으로는 패혈증이 242%로 가장 높았고 알츠하이머 224.2%, 폐렴 158.8%, 심장 질환 23.5%, 고혈압성 질환 20.6% 순이다. 사망률이 감소한 사망원인으로는 운수사고 -44.0%, 호흡기 결핵 -40.4%, 만성 하기도 질환 -24.9%, 당뇨병 -18.8%, 고의적 자해 -18.1%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10대, 20대, 30대는 자살이 사인 중 가장 많았다. 자살 사망자 비중을 보면 10대 43.7%, 20대 56.8%, 30대 40.6%에 이른다.
40대 이후에는 연령에서는 사망원인 1위가 암이었다. 암으로 사망한 사망자 비율은 40대 27.7%, 50대 35.4%, 60대 41.4%, 70대 34.7%, 80세 이상 17.1%였다.
우리나라 하루 평균 자살 사망자 수는 36.6명에 이른다. 자살률은 남자(35.9명)가 여자(16.2명)의 2.2배로 나타났다.
남녀간 자살률 성비는 10대에 1.1배로 가장 낮고 80세 이상이 3.7배로 가장 높았다. 자살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27.3명)이고 세종(17.8명)이 가장 낮았다.
지난해 암 사망자는 8만2688명, 사망률은 10만명 당 161.1명으로 전년보다 0.6% 늘었다. 암 사망률은 폐암(36.8명), 간암(20.0명), 대장암(17.5명), 위암(14.1명), 췌장암(13.5명) 순으로 높았다.
남자의 암 사망률은 199.0명으로 여자 123.4명의 1.6배였다. 남자는 폐암, 간암, 대장암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고 여자는 폐암, 대장암, 췌장암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알코올성 간 질환이나 위염 등 알코올 관련 사망자 수는 4928명으로 하루 평균 13.5명이었다. 전년보다는 4.4% 줄었다.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9.6명으로, 남자(16.5명)가 여자(2.7명)의 6.1배였다. 치매 사망자는 1만351명, 사망률은 20.2명으로 2.7% 줄었다. 치매 사망률은 여자(27.4명)가 남자(12.8명)보다 높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 수는 5030명으로 80세 이상이 49.9%를 차지했다. 코로나19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 중 1.6%를 차지했고 전년대비 4080명이나 늘었다. 올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인해 확진자가 늘면서 사망자도 증가했다.
코로나19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9.8명으로 전년 7.9명 증가했으며 비율로는 429.6% 증가했다. 60세 이상 사망률이 급증했고 80세 이상 사망률이 124명으로 가장 높았다. 전 연령층에서 남성 사망률이 여성보다 높았다. 월별로는 12월 2146명, 11월 839명으로 많았다. 시도별 코로나19 사망률은 서울이 19.3명으로 가장 높았고 경기 11.5명, 충남 8.4명 순으로 높았다.
BEST 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도심항공교통(UAM) 도입과 드론 물류 확대를 앞두고, 공항·항만·발전소·가스 시설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이 밀집한 인천 지역에서 불법 드론 대응 체계가 시설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 -
[단독] 삼양 ‘1963 라면’, 정통성 복원 외쳤지만… 팜유·우지 혼합 ‘골든블렌드’ 논란
삼양식품이 브랜드 탄생 61주년을 맞아 '정통성 복원'을 내세우며 출시한 신제품 ‘삼양라면 1963’이 출시 직후 예상치 못한 논란에 마주쳤다. 김정수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식품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지 유탕으로 만든 삼양 1963을 소개하고 있다....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이디야커피가 보이그룹 ‘보이넥스트도어’와 협업해 선보인 콜라보레이션 음료가 출시 직후 높은 관심을 얻고 있다. 이미지=이디야커피 제공 이디야커피는 지난 28일 협업 음료 2종을 출시했다. 일부 매장에서는 개점 직후 음료 구매를 위한 이른 방문이 이어졌고, 음료 구매 시...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위조 서류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은 ‘젊은 건축가상’ 수상자에 대한 조치가 3년 만에야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수상 취소 사유가 법적으로 명백했음에도 문화체육관광부는 사실상 아무 대응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조국...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해양수산부가 예산 3억8천여만원을 들여 개발한 국립등대박물관 전시 안내 앱이 출시 후 사실상 활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금주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국회 문금주 의원(더불어민주당·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
‘수유텀·맘마존·애개육아’… 에코붐 세대, 신(新)육아 트렌드 주도
일러스트=픽사베이 출생아 수가 10년 만에 반등하면서 1990년대생 ‘에코붐 세대’가 육아 시장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루틴(일과)과 공유, 반려문화에 익숙한 이들은 새로운 육아 신조어를 만들며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인구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