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 마산만 일대에서 최근 2주간 폐사한 정어리 떼의 양이 170톤(t)을 넘겼다.

14일 창원시에 따르면 마산만에서 정어리 떼죽음이 처음 관찰된 지난달 30일 이후 정어리 폐사가 계속 이어져 지난 13일까지 수거된 폐사체 양은 175.9t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30일 창원시 앞바다에서 집단폐사한 물고기를 두고 최초 '청어 새끼'라는 보도가 나왔다. 하지만, 이 물고기는 청어 새끼가 아닌 1년 이상 자란 정어리로 정정됐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죽은 물고기가 몸통 길이 14~16cm에 무게 20g 정도의 성어인 정어리라고 판정했다.

정어리 떼죽음의 원인을 놓고 어민들이 죽은 정어리를 버렸을 것이란 가설도 등장했다. 수산자원관리법 상 몸통 길이가 20㎝ 이하인 청어는 잡지도 팔지도 못해, 어민들이 정어리를 청어 새끼로 오인해 통째로 바다에 버린 것 아니냐는 것이다. 청어 새끼와 정어리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워 창원시 역시 ‘물고기 집단폐사 사태’가 벌어지자 죽은 물고기를 청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정어리 떼죽음의 원인은 아직도 미궁이다. 어민들이 정어리를 청어 새끼로 착각해 버렸을 것이라고 주장하기에는 죽은 정어리 떼 양이 너무 많다. 한꺼번에 어민들이 잡았다가 버릴 수 있는 양이 아니며 떼죽음이 있던 전후에 어민들이 물고기를 버리는 장면도 목격되지 않은 것으로 봐 설득력은 떨어진다.
또 하나의 원인으로 '빈산소수괴(산소부족 물덩어리)' 가설도 등장했다. '바다의 저승사자'라고 불리는 빈산소수괴는 바닷물에 녹아있는 산소 농도가 3mg/L 이하인 물 덩어리를 말하며 이로 인해 어·패류 호흡에 방해가 돼 죽음에 이르게 된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빈산소수괴가 원인이라면 다른 어종이나 패류도 함께 폐사했어야 한다. 정어리만 특정해 죽은 것을 놓고 '빈산소수괴'가 원인이라고 설멍하기는 쉽지 않다.
한편, 2011년 3월 미국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정어리 떼죽음이 목격됐는데 당시 한꺼번에 정어리 떼가 몰리면서 바닷물의 용존산소량이 부족해 집단폐사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유사 사례로 보여지지만, 정밀한 원인 규명이 필요해 보인다.
2016년 5월 사상 최악의 적조 현상으로 칠레 남부 해안을 회유하던 정어리가 떼죽음을 당했으며 4월에도 인근 쿠에울레 강에서도 집단폐사한 정어리떼 500t 정도가 떠올랐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현재 현장에서 채취한 수질의 용존산소(물속에 녹아 있는 분자 상태의 산소), 염분, 중금속, 폐수 방류 여부, 수온 등 환경 조사와 질병 감염 여부 조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달 30일부터 발견된 정어리 폐사체는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었지만 지난 13일 다시 마산해양신도시 인근 마산항 주변에 정어리 떼가 죽은 채 떠올랐다.
창원시는 폐사한 정어리 떼로 인해 해양오염과 악취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까지 시청·구청 및 어업인 등 800여명을 투입해 수거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일부 주민은 악취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르면 다음 주 원인 분석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BEST 뉴스
-
알테오젠, K-브랜드지수 제약·바이오 상장사 부문 1위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0일 ‘K-브랜드지수’ 제약·바이오 상장사 부문에서 알테오젠이 1위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K-브랜드지수는 트렌드, 미디어, 소셜, 긍정·부정 평가, 활성화, 커뮤니티, AI 인덱... -
보험사 권유 믿고 갈아탔다 ‘낭패’
이미지=연합뉴스TV 제공 보험사들이 ‘더 좋은 조건’을 내세워 기존 계약 해지를 유도하는 이른바 ‘보험 갈아타기’ 영업이 급증하면서 소비자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충분한 설명 없이 상품을 바꾸게 하는 ‘부당승환’ 행위가 업계 전반으로 번지면서, 보험시장의 건전성과 공정 경... -
[단독] “끈끈이로 변한 골프공”… 볼빅 비비드 컬러볼, 품질 논란 확산
컬러 골프공 시장의 선두주자로 알려진 볼빅(Volvik)의 비비드(Vivid) 시리즈를 둘러싸고 품질 논란이 일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공 표면이 끈적거린다는 불만이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잇따르고 있다. 볼빅 골프공. 끈적임 현상이 생기는 제품은 맨 하단 우측(무광 컬러볼) 사진=류근원 기...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최근 발생한 무단·부정 카드결제 사건과 관련해 소비자단체가 피해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금융감독원의 결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사)소비자와함께는 성명을 내고 “위험을 먼저 감지할 수 있는 주체가 먼저 책임져야 한다”며 즉각적인 시정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성명에서 “새벽 시간대 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강원랜드가 최근 5년간 카지노 이용 고객에게 지급한 ‘콤프’ 규모가 총 5,700억 원에 달하지만, 불법 사용 사례인 이른바 ‘콤프깡’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감독 체계는 허술해 실효성 없는 제도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 사진=연합뉴스 ... -
용인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세트 3만8000원…팬심 바가지 논란
경기 용인 에버랜드가 넷플릭스와 협업해 선보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테마존’이 개장 닷새 만에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끌어모으며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판매되는 ‘헌트릭스 세트(3만8000원)’와 ‘사자보이즈 세트(3만6000원)’의 가격을 두고 “팬심을 이용한 바가지 장사”라는 논란이 제기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