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충남대 화재로 대학원생 중상…올해만 연구실 사고 벌써 3번째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7.06 11:5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안전교육도 안 받은 신입생…정부 매뉴얼, 현장과 괴리"

올해 들어서만 세 번째다. 전국 주요 대학 연구실에서 잇따라 화재와 폭발 사고가 발생하며 연구실 안전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특히 신입생이 최소한의 안전교육조차 받지 않은 채 위험물 처리를 하다 화상을 입은 이번 사고는, 현행 안전 관리 체계의 구멍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AKR20250704139200017_01_i_org.jpg
폭발 사고가 난 충남대 연구실 [유성소방서 제공. 연합뉴스]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더불어민주당·남양주갑)은 2일 충남대학교에서 발생한 연구실 화재 사고와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연구실 안전 매뉴얼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번 사고는 신입 대학원생이 미사용 시약을 폐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성상이 다른 두 물질인 크롬옥사이드와 아세톤을 동일 폐액통에 함께 버리면서 화학 반응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발생한 화염으로 학생은 얼굴과 목 등에 2도 화상을 입었다.


문제는 이 같은 혼합 폐기가 위험물안전관리법상 명백한 금지사항이라는 점이다. 크롬옥사이드는 제1류 위험물, 아세톤은 제4류(인화성 액체)로 분류되며, 서로 혼재해선 안 된다. 하지만 피해 학생은 관련 교육조차 받지 못한 상태였다.


실제로 이 학생은 석사과정 1학년 신입생으로, 지난 4월 29일 실시된 연구실 안전 집합교육조차 수료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사고 당시 보안경과 마스크 등 안면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채 실험에 참여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 4월 한양대, 6월 KAIST에서 발생한 연구실 폭발사고와도 유사한 양상이다. 이들 사고 역시 기본적인 안전수칙 미준수가 핵심 원인이었다.


최 위원장은 “올해에만 벌써 세 차례나 대학 연구실에서 화재와 폭발사고가 반복되고 있다”며 “국회는 관련법을 개정해 예방책을 마련했지만, 정작 과기정통부의 후속 지침은 여전히 현장과 동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이 반복되는 것은 연구실 안전 제도가 현장에서 실효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라며 “과기정통부에 여러 차례 점검을 지시했지만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위원장은 오는 과기정통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배경훈 후보자에게 관련 문제를 정면으로 질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의 미래 인재들이 매일 머무는 공간이 바로 대학 연구실”이라며 “이제는 정부가 국회와 함께 적극적으로 연구실 안전사고 예방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충남대 화재로 대학원생 중상…올해만 연구실 사고 벌써 3번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