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대학가에 창업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강좌가 지난해 1051개에서 올해 2561개로 증가하며 수강생이 4만 8000명에서 12만 4000명으로 급증했다. 창업동아리도 지난해보다 1000여개가 더 늘어나 3000개에 육박하고 있다.
또 창업휴학제가 전국 80개 대학에 도입되고 창업 시 최대 8학기까지 휴학이 가능한 등 창업친화적인 학사운영이 전국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다.
중소기업청과 창업진흥원은 16일 ‘2014년 대학 창업인프라 실태조사’를 발표하며 “‘벤처창업 자금생태계 선순환 방안’(2013.5),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2013.9) 이후 창업휴학제·창업학과·창업특기생 도입이 늘어나고 창업동아리가 활성화되는 등 창업친화적인 분위기가 전국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대학의 창업인프라 실태조사 내용을 살펴보면 대학 재학 중 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창업휴학제’ 도입 대학이 지난해 17개에서 올해 80개로 대폭 증가했다.
휴학기간은 각 대학 별로 자율 운영 중이나 대부분 대학이 총 4학기까지 인정하고 있고 제주대 등 일부 대학은 8학기(2년)까지 인정하고 있다. 이중 4년제 대학은 71개(28%), 전문대학은 9개(6%)이며 국공립대학은 21개(34%), 사립대학은 59개(17%)로 나타났다.
학부과정에 ‘창업학과’를 도입한 대학도 20개 대학(21개 학과)으로 지난해 보다 7개 대학(7개 학과)이 늘었다. 숙명여대의 기업가정신전공, 숭실대의 벤처경영학과, 상지대의 창업경영학과 등이 올해 신설된 창업관련 학과다. 창업학과 입학정원은 올해 1317명으로 지난해(871명) 대비 51.2% 증가했고, 전담교수도 206명으로 지난해(113명) 대비 82.3% 증가했다.
또한 창업학과 이외에 2개 이상의 학과를 유기적 연계해 운영하는 ‘창업연계전공’(별도의 입학정원이 있는 학과·전공이 아님)은 올해 27개 대학, 30개 전공이 개설·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창업강좌’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올해 282개 대학에서 2561개 강좌가 운영 중으로 지난해보다 약 2.5배 증가했으며 수강생은 12만 4288명에 달했다. 창업강좌 형태는 전공과목 형태가 80%, 교양과목 20%이며 강좌당 3학점 이상을 인정하는 과목이 79% 수준으로 나타났다. 창업강좌 내용은 이론중심이 44%로 가장 많으며 체험중심 24%, 혼합형 32%이었다.
창업경진대회 수상자, 창업동아리 등 창업경력 중심으로 선발하는 ‘창업특기생’도 올해 13개 대학에서 229명이 선발돼 지난해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창업 열기는 대학원과정으로 이어져 ‘창업학과가 개설된 대학원’도 올해 14개 대학(16개 대학원) 24개 과정(석사과정 16개, 석사+박사과정 8개)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의 CEO를 꿈꾸는 ‘창업동아리’도 현재 2949개(2만 9583명)가 활동 중으로 지난해(1833개, 2만 2463명)에 비해 60.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분야는 대학생들이 손쉽게 창업할 수 있는 SW·모바일 등 지식서비스업(48.0%)이 가장 많고 제조업(35.9%), 기타 업종(16.1%) 순으로 재학 중 창업동아리 활동을 하다가 실제 창업으로 연결되는 성공사례도 다수 배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창업친화적 학사제도는 창업선도대학(21개)들이 도입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모든 창업선도대학에서 창업동아리가 활동 중이고 학교당 평균 51.3개로 기타 대학(학교당 9.8개)의 5배 수준으로 확인됐다. 중소기업청은 대학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창업친화적 학사제도가 대학생(청년)의 성공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대학 내 기업가센터·창업지원단 등 전담조직 설치·운영을 확대해 대학교육 - 실전창업간 연결고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대학 내외의 자원을 활용한 투자·보육·멘토링 등 연계 지원을 강화해 학생창업기업이 죽음의 계곡을 넘어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 -
국가AI전략위, ‘AI정부’ 전환 TF 출범…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 주목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이 마비된 사태 이후, 정부가 근본적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 이하 위원회)는 29일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 구성을 공식화했다. 이 TF의 공동 리더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겸 CA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