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주 시 손상 위험 5배↑, 개인형 이동수단 사고 급증
- 영유아는 ‘가구’, 청소년은 ‘자전거’가 주요 위험 요인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이 28일 발표한 「2024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에 따르면, 응급실 환자 수는 전년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으나 입원·사망 분율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이 중증 환자 중심으로 재편된 양상이다.

◇ 중증 환자 늘고, 추락·낙상 여전 = 지난해 전국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 환자는 총 8만6633명으로, 전년(20만3285명) 대비 42.6% 급감했다. 그러나 입원율은 23.7%로 전년보다 7.6%포인트 늘었고, 사망률도 2.6%로 두 배 이상 높아졌다.
전체 손상 중 가장 많은 원인은 추락·낙상(40%)이었고, 이어 둔상(15.2%), 운수사고(15.1%) 순이었다. 음주 상태에선 자해·자살, 폭력·타살 등 의도적 손상 비율이 38.6%로 비음주 상태(7.9%)보다 5배 가까이 높았다.
◇ 자해·자살 급증, 특히 청소년층 = 자해·자살 환자는 전체의 8.0%로, 10년 전(2.2%)보다 3.6배 증가했다. 특히 10~20대에서의 비율이 급증해, 2014년 26.7%에서 지난해 39.4%로 뛰었다. 자해·자살 시도는 대부분 집(84.1%)에서 이뤄졌으며, 방법으로는 약물 중독(67.4%)이 많았다. 원인으로는 우울증 등 정신과적 문제가 45.6%로 가장 많이 꼽혔다.

◇ 개인형 이동수단, 새로운 위험 요인 =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에 의한 사고도 급증했다. 전체 운수사고 손상 중 ‘기타·미상 육상 운송수단’ 비중은 2014년 0.4%에서 2024년 5.0%로 12.5배 늘었다. 반면 자전거 헬멧 착용률은 16.2%에 불과해 안전의식 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 고령층 낙상, 집안이 위험 = 낙상 환자 가운데 70세 이상 비율은 10년 새 두 배 넘게 증가(17.1%→35.3%)했다. 낙상은 대부분 집(43.6%)에서 발생했으며, 장소로는 거실(17.3%), 화장실(16.5%), 계단(15.3%) 순이었다. 손상 부위는 뇌손상(52.4%)이 가장 많아 중증 위험이 크다.
◇ 영유아는 ‘가구’, 청소년은 ‘자전거’ = 소아·청소년 손상도 연령대별 특징이 뚜렷했다. 1세 미만은 가구에 의한 손상이 많았고, 12세는 차량 탑승 중 사고 비중이 높았다. 7~12세는 자전거 사고가 전체 운수사고의 절반 이상(54.9%)을 차지했으나, 헬멧 착용률은 5.3%에 불과했다. 13~18세 청소년은 자살 목적의 약물 중독 손상이 두드러졌으며, 원인 약물은 항우울제·수면제 등 치료약물이 대부분이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통계는 단순 손상 현황을 넘어 청소년 자해·자살 증가, 고령층 낙상, 생활공간 위험 등 심각한 사회·의료적 과제를 드러냈다”며, “생애주기별 맞춤형 손상 예방정책과 정신건강 지원 강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BEST 뉴스
-
[단독] 소비자는 불안에 떠는데…오르테·소베맘, 젖병세척기 하자 무책임 대응 빈축
유아용품 브랜드 오르테와 소베맘이 판매하는 유아용 젖병세척기에서 내부 플라스틱 부품이 갈라지거나 깨지는 사례가 잇따라 나와 논란이다. 미세 플라스틱 이슈에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있으나 두 회사는 문제의 원인을 명확히 고지하지 않고, 일부 제품에 대한 환불만 진행하는 등 안이하게 대응해 비판의 목소리가 ... -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여자 사우나에서 X싼 사람 나와'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주상복합단지 래미안 원베일리 내부 여성 사우나에서 인분이 나왔다. 아파트 측은 조사에 착수했으며, 법적 조치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원베일리 커뮤니티 사우나에 거치된 공지문 사진=SNS 7일 래미안 원베일리 커뮤니티 측이 사우나에 공... -
[단독] 급성장한 미소 서비스, ‘좋은 플랫폼’ 평가 속 반복되는 불만 목소리
국내 대표 홈서비스 플랫폼 미소(Miso)가 생활편의를 크게 높인 혁신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5년 설립 이후 누적 고객 500만 명, 거래 파트너 8만 명을 확보하며 누적 거래액 1조 원을 돌파했고, 최근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빠른 성장 뒤에는 끊이지 않는 고객 불만과 서비스 품질 문제가 드러나고... -
급전 찾는 5060…저축은행·카드론·캐피탈 고령층 연체율 ‘비상’
서울의 한 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과 카드론, 캐피탈 등 제2금융권에서 60세 이상 고령층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치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20개 저축은행, 8개 카드사, 10개 캐피탈사로부터 제출받은 ‘2021~2025년 연령대별 ... -
직장인 3명 중 1명 “채용 사기 경험”
일러스트=픽사베이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월 1일부터 7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수습 갑질 해결을 위한 채용절차법 확대 적용 동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직장인 3명 중 1명가량(35.3%)이 입사 당시 확... -
“공항라운지 무료가 진리”… 트래블카드 ‘최애’는 신한카드
국내 최대 신용카드 플랫폼 카드고릴라가 진행한 ‘가장 유용했던 트래블카드 혜택·기능’ 설문에서 ‘공항라운지 무료’가 1위를 차지했다. 해당 혜택을 갖춘 ‘신한카드 SOL트래블 체크’는 블라인드 조사에서 압도적 지지를 받으며 ‘최애 트래블카드’로 꼽혔다. 인포그래픽=카드고릴라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