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여행자 휴대품 면세한도를 현행 600달러에서 800달러로 상향 조정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6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취재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어온 관광산업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2014년 이후 고정된 여행자 휴대품 면세 한도의 상향 조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면세한도를 늘린 것은 8년만이다.
현재 1인당 주류 1병, 향수 60㎖, 담배 200개피, 기타 합계 600달러 이하의 휴대품에 대한 면세가 적용된다. 여행자 휴대품 면세한도는 1979년 10만원에서 1988년 30만원, 1996년 400달러, 2014년 9월 600달러로 높아졌다.
지난 3월 18일부터 내국인의 면세점 구매한도는 완전 폐지됐다. 원래 5천달러였던 면세점 구매한도를 폐지했지만 면세한도는 600달러 그대로였다.
추 부총리는 "현재 600달러 수준과 유사한 국가도 굉장히 많다"면서도 "600달러로 설정해놓은 기간이 한참 됐기 때문에 여러 상황 변화도 감안하고 최근 관광산업 등에 어려움도 있어 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800달러 정도로 높일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1인당 국민소득이 2014년 3095만원에서 2021년 4025만원으로 30% 이상 증가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침체에 빠졌던 관광산업에 대한 지원과 면세업계의 회복을 고려해 면세한도를 늘려야할 필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해외여행자 수는 2019년 2871만명에서 2020년 428만명, 지난해 122만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면세점 매출 역시 2019년 24조9천억원에서 2020년 15조5천억원, 지난해 17조8천억원을 기록했다.
OECD와 유럽연합(EU)의 평균 면세 한도는 각각 566달러·509달러 수준이지만, 주변 경쟁국인 중국(5천위안·약 776달러)과 일본(20만엔·약 1821달러)의 면세 한도는 한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BEST 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도심항공교통(UAM) 도입과 드론 물류 확대를 앞두고, 공항·항만·발전소·가스 시설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이 밀집한 인천 지역에서 불법 드론 대응 체계가 시설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 -
[단독] 삼양 ‘1963 라면’, 정통성 복원 외쳤지만… 팜유·우지 혼합 ‘골든블렌드’ 논란
삼양식품이 브랜드 탄생 61주년을 맞아 '정통성 복원'을 내세우며 출시한 신제품 ‘삼양라면 1963’이 출시 직후 예상치 못한 논란에 마주쳤다. 김정수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식품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지 유탕으로 만든 삼양 1963을 소개하고 있다....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이디야커피가 보이그룹 ‘보이넥스트도어’와 협업해 선보인 콜라보레이션 음료가 출시 직후 높은 관심을 얻고 있다. 이미지=이디야커피 제공 이디야커피는 지난 28일 협업 음료 2종을 출시했다. 일부 매장에서는 개점 직후 음료 구매를 위한 이른 방문이 이어졌고, 음료 구매 시...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위조 서류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은 ‘젊은 건축가상’ 수상자에 대한 조치가 3년 만에야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수상 취소 사유가 법적으로 명백했음에도 문화체육관광부는 사실상 아무 대응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조국...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해양수산부가 예산 3억8천여만원을 들여 개발한 국립등대박물관 전시 안내 앱이 출시 후 사실상 활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금주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국회 문금주 의원(더불어민주당·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
‘수유텀·맘마존·애개육아’… 에코붐 세대, 신(新)육아 트렌드 주도
일러스트=픽사베이 출생아 수가 10년 만에 반등하면서 1990년대생 ‘에코붐 세대’가 육아 시장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루틴(일과)과 공유, 반려문화에 익숙한 이들은 새로운 육아 신조어를 만들며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인구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