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3년 보완하고 싶은 보안 서비스는 'CCTV'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3.01.09 15:55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에스원은 85만 고객을 대상으로 보안 인식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보안업계 1위 기업으로서 올해 보안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트렌드를 전망하기 위해 진행됐다.


에스원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23년 주요 보안 트렌드를 △AI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시장 주도 △안전 관련 솔루션 각광 △언택트 솔루션 인기 지속 △물리보안, 보안 시장 성장 견인으로 전망했다.


31017998_20230109101707_8727971963.jpg
에스원이 실시한 보안 인식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

 

◇ AI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시장 주도


4차산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기술인 ICBAM (IoT, Cloud, Big Data, AI, Mobile) 중 올해 보안 시장에서 가장 주목 받는 기술은 AI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에스원 보안서비스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올해 보완하고 싶은 서비스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얼굴인식 출입 관리(29.2%) △지능형 CCTV(7.3%) 순으로 나타났다. 이 솔루션들의 공통점은 AI 기술이 탑재돼 있다는 점이다.


◇ 안전 관련 솔루션 각광


지난해 대형 빌딩 침수, 터널 화재 등 각종 재난·재해 사고가 잇따르면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관련 솔루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일어난 재난, 재해 사고로 인해 불안감을 느낀 경험이 있나’라는 질문에 59.1%가 ‘그렇다’고 답한 가운데 ‘올해 보완하고 싶은 안전 관련 솔루션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재해 예방 모니터링 솔루션(65.9%) △지능형 CCTV(18.9%) △차량운행관리 솔루션(5.9%) △AED(3.4%) 순으로 나타났다.


◇ 언택트 솔루션 인기 지속


팬데믹 장기화로 비대면 방식이 일상화되며 언택트 솔루션의 인기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팬데믹 이후, 일상생활에 있어 대면/비대면 중 선호하는 생활 패턴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67.2%가 ‘비대면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올해 보완하고 싶은 언택트 솔루션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얼굴인식 출입관리 솔루션(73.2%) △모바일 카드(12.1%) △화상회의 솔루션(6.3%) △재택근무 관리 솔루션(6.0%) 순으로 나타났다.


◇ 물리보안, 보안 시장 성장 견인


최근 월패드 해킹, 랜섬웨어 사고 등 사이버 범죄가 증가하며 정보보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지만 안전 관련법 시행, 팬데믹 장기화 등으로 오히려 물리보안 시장 성장세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물리, 정보보안 중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81.7%가 ‘물리보안을 이용한다’고 응답했으며, 3.4%가 ‘정보보안을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두 가지 서비스를 모두 이용한다’는 응답은 14.9%로 나타났다.


‘올해 보완하고 싶은 보안 서비스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네트워크 보안(5.8%), △PC보안(3.6%) 등 정보보안을 선택한 응답자가 9.4%에 그친 반면 △CCTV(39.7%) △출입관리 솔루션(28.5%) 등 물리보안을 선택한 응답자가 전체의 79.4%에 달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 시속 300km 질주 중 ‘쾅’… 자갈 튀어 고속열차 유리창 663건 파손
  • ‘K-컬처 300조’ 외치지만… 박물관엔 ‘빈 지갑’뿐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 국립박물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전면 지원은 단 3곳
  • 정신질병 산재 사망 승인률 5년 새 절반으로 감소
  • 경기도 119구급대, 예산 부족에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
  • 이인선 의원,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 위한 ‘교제폭력 특례법’ 대표발의
  • 의약품 중독 환자 8만명 돌파…10대 청소년 40% 급증 ‘심각’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2023년 보완하고 싶은 보안 서비스는 'CCTV'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