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부천시의 한 호텔 화재로 숨진 7명 중 2명은 에어매트로 뛰어내렸다가 숨지면서 에어매트의 기능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7시 34분께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의 한 호텔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9층짜리 호텔 내부 810호(7층) 객실에서 연기가 난다는 119 신고가 처음 접수된 것은 5분 뒤인 오후 7시 39분이었다.
부천소방서 선착대는 신고 접수 4분 만인 오후 7시 43분에 화재 현장에 도착했고, 도착 5분 뒤인 오후 7시 48분 곧바로 호텔 외부에 에어매트를 설치했다.
당시 부천소방서가 설치한 에어매트는 10층 높이에서 뛰어내려도 되는 장비로 가로 7.5m·세로 4.5m·높이 3m 크기이며 무게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126㎏ 정도 나간다. 에어매트가 무겁다보니 보통 구조대원 4∼5명이 함께 들어 옮긴 뒤 설치한다.
화재 직후 연기가 호텔 내부를 뒤덮으며 상황이 급박해졌다. 소방서 에어매트 설치 7분 뒤인 오후 7시 55분에 7층 객실의 남녀 2명이 뛰어내렸다.
여성이 먼저 뛰어내렸는데 에어매트의 가운데가 아니라 가장자리 쪽으로 떨어졌고, 그 순간 반동에 의해 에어매트가 뒤집혔다.
먼저 뛰어내린 여성을 구조할 틈도 없이 2∼3초 뒤에 곧바로 남성이 뛰어내렸다. 하지만 에어매트가 뒤집히면서 이 남성도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큰 충격을 당했다. 에어매트로 뛰어내린 남녀는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모두 숨졌다.
구조를 기다리던 남녀가 화재 발생 후 비교적 신속하게 설치된 에어매트 위로 뛰어내렸는데도 숨지자 인터넷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상에서는 에어매트 설치의 적정성을 놓고 의문이 제기됐다.
현장 목격자들이 찍은 사진에는 '119부천소방서'라는 글씨가 거꾸로 된 채 뒤집힌 에어매트의 모습이 담겼다. 처음부터 에어매트를 거꾸로 설치한 것 아니냐는 주장도 제기됐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부천소방서 관계자는 "에어매트는 정상적으로 설치됐으나 여성 추락 후 뒤집어졌다"고 해명했다.
부천소방서 관계자는 "어제 설치한 에어매트는 10층 용으로 8층에서 뛰어내려도 문제가 없게 제작됐다"며 "여성이 떨어질 때 모서리 쪽으로 쏠리면서 에어매트가 뒤집혔는데 사실 흔하게 일어나는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소방 당국은 처음에 뛰어내린 여성이 에어매트 가운데 부분이 아닌 모서리 쪽으로 떨어지면서 뒤집힌 것으로 추정했다. 고층에서 뛰어내리더라도 전날과 같이 에어매트가 뒤집히는 경우는 흔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에어매트를 고정했어야 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하지만 소방 관계자는 "에어매트는 고정하면 안 된다. 에어매트 낙하시 가운데로 떨어지면 주변으로 공기가 빠지면서 낙하한 사람의 충격이 완화된다"며 "만일 매트 주변을 사람이 잡고 있으면 공기가 빠지는 충격이 주변 사람에게 전달돼 위험할 수 있다. 시설물에 고정하면 충격 완화 기능이 저하된다"고 반박했다. 이어 "낙하자의 위치가 바뀔 경우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에어매트 고정은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제대로 설치된 에어매트가 뒤집히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굳이 소방관들이 모서리를 잡고 있어야 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화재 현장에 온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에어매트를) 잡아주는 사람은 없었느냐"고 묻자 조선호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은 "당시 인원이 부족해서 에어매트를 잡아주지는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에어매트 연한도 문제가 되고 있다. 뉴스1에 따르면 해당 에어매트는 18년 전인 2006년 지급받은 것으로 파악됐는데 소방 장비 규정상 에어매트의 경우 내용연수는 7년으로 11년이나 지난 상태다.
내용연수가 지난 제품은 소방서 산하 1~2차 심의회와 3차 불용심의회를 거쳐, 재사용할 수 있어서 심의를 거쳐 연장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소방본부 관계자는 "법적으로 심의를 거쳐 연장해 사용해 왔던 상황이다"고 말했다.
부천 호텔 화재로 투숙객 등 7명이 숨졌다. 중상 3명 포함 부상자는 12명이나 된다. 호텔 건물 전체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유독가스가 빠르게 퍼진 데다 객실에 스프링클러도 설치돼 있지 않아 피해가 컸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김건희 ‘판도라 폰’ 공개되자… 도이치 공범 이준수 추적, 행방 묘연
김건희 여사의 휴대전화 포렌식 자료가 공개되면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숨은 인물’로 지목돼온 56세 이준수 씨의 실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8월12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하고 있다. 사...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가평 크리스탈밸리CC서 카트 추락…70대 근로자 사망
18일 오후 1시경 경기도 가평군 상면 대보리 소재 크리스탈밸리 컨트리클럽(CC) 내 도로에서 작업용 카트가 5미터 아래로 추락해 70대 근로자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즉시 구조에 나섰으나, 두 사람 모두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된 뒤 사망 판정을 받았다. 사... -
[단독] FDA에 이름 오른 '에이피알'… 'K-뷰티 신화'에 드리운 먹구름
에이피알(APR) 김병훈 대표 사진=연합뉴스 ‘메디큐브(Medicube)’로 대표되는 에이피알(APR)은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K-뷰티의 새로운 신화를 써 내려가고 있다. 에이피알을 이끄는 김병훈 대표는 ‘디지털 감각’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SNS 중심의 브랜드 확산 전략을 ... -
매크로 예매는 불법인데… 티켓베이는 왜 처벌받지 않나
티켓구매 (CG) [연합뉴스TV 제공] 프로야구와 인기 가수 공연 티켓을 자동 프로그램(매크로)으로 대량 예매해 되판 업자들이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경찰은 최근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야구 입장권을 무더기로 예매한 일당을 검거했다. 이들은 초당 수백 회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