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2조8000억으로 업계 1위… 농심·롯데칠성·오뚜기 뒤이어
건강기능식품 중엔 비타민·무기질이 홍삼 제쳐… ‘헬시플레저’ 트렌드 반영
2024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114조852억 원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제조업 총생산(684조5,992억 원)의 16.8%, 국내총생산(GDP)의 4.5%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은 2024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집계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식품, 축산물,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 전 업종에서 고르게 생산이 늘어난 가운데, 특히 설탕을 줄인 '슈거제로' 제품과 단백질 강화 제품, 비타민 등 건강기능식품이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슈거제로 제품 20%↑… 식물성·고단백 식품도 강세
지난해 식품 생산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건강을 중시하면서도 맛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의 확산이다. 이에 따라 ‘슈거제로’ 제품의 생산액은 전년 대비 20.1% 늘어난 5,726억 원을 기록했다. 제품 수는 590개로 2배 이상 증가했고, 특히 빵류와 소스류 등 비(非)음료 제품이 109.7% 늘었다.
고단백 제품 생산도 전년 대비 24.0% 증가한 5,688억 원에 달했다. 운동 인구 증가와 체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결과다. 식물성 원료 기반 제품 생산액은 691억 원으로, 2023년(130억 원) 대비 무려 5배 가까이 뛰었다.
가장 많이 생산된 식품은 즉석섭취·편의식품류(5조8,859억 원), 소스류(4조9,555억 원), 빵류(3조7,527억 원) 순이었다.
수출 10%↑… 라면·편의식품·조미김 인기
식품산업 수출도 호조를 보였다. 총 72억5,915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0%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라면, 즉석섭취식품, 조미김이 선두였다. 특히 라면 수출은 전년보다 17.6% 증가한 11억8,632만 달러로 집계됐다. 덴마크·인도네시아의 수입 제한 해제를 위한 정부의 규제 외교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즉석섭취식품은 25.6%, 조미김은 22.2% 각각 수출이 늘었다. 도시락, 냉동김밥, 즉석국 등의 편의식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는 평가다.
축산물도 ‘로우푸드’ 인기… 저염·저지방 제품 생산 21%↑
축산물 생산실적은 37조7,7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돼지고기 포장육, 쇠고기 포장육, 양념육류, 닭고기 포장육이 상위 품목이다. 특히 돼지·소·닭 포장육과 양념육 생산량은 436만톤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했다.
저염·저당·저지방 축산물 가공품 생산량은 21.3%, 관련 품목수는 54.6% 각각 증가했다. 닭가슴살, 돈앞다리살 등 저지방·고단백 부위 활용 제품도 전년보다 7.3% 증가했다.
무항생제·동물복지 인증 제품 생산액은 최근 3년간 연평균 11.9%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홍삼 밀려나고 비타민·무기질이 1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은 2조7,618억 원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수출은 12.2% 증가한 2억7,864만 달러로 집계됐다.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은 5,461억 원(24.4%↑)으로 홍삼을 제치고 생산액 1위를 차지했다. 이중제형 포장 제품과 수출이 성장의 동력이었다.
기능성별 매출 1위는 혈행 개선 제품(1조1,651억 원), 2위는 기억력 개선 제품(1조1,426억 원)으로, 4년 연속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 피부 건강(32.7%↑), 인지능력 향상(106.7%↑) 관련 제품도 고성장을 보였다.
CJ제일제당, 식품업계 ‘부동의 1위’… 1조 클럽 10곳
2024년 기준 생산실적 1조 원 이상 업체는 총 10곳으로 집계됐다. 식품제조·가공업체 9곳, 축산물가공업체(서울우유) 1곳이다.
CJ제일제당(2조8,440억 원)이 1위를 지켰고, 농심(2조3,766억 원)과 롯데칠성음료(2조2,461억 원)가 뒤를 이었다. 4위는 오뚜기(1조6,503억 원), 5위는 롯데웰푸드(1조5,028억 원)였다. 다음은 하이트진로(1조4,988억 원), 서울우유협동조합(1조2,627억 원), 삼양식품(1조1,697억 원), 대상(1조964억 원), 동서식품(1조437억 원) 순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실적은 국내 식품산업의 건전한 성장세를 보여주는 지표”라며 “헬시플레저와 웰에이징 등 새로운 소비 트렌드에 주목해 향후 정책 수립과 산업 지원의 기초자료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 -
가평 크리스탈밸리CC서 카트 추락…70대 근로자 사망
18일 오후 1시경 경기도 가평군 상면 대보리 소재 크리스탈밸리 컨트리클럽(CC) 내 도로에서 작업용 카트가 5미터 아래로 추락해 70대 근로자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즉시 구조에 나섰으나, 두 사람 모두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된 뒤 사망 판정을 받았다. 사... -
[단독] FDA에 이름 오른 '에이피알'… 'K-뷰티 신화'에 드리운 먹구름
에이피알(APR) 김병훈 대표 사진=연합뉴스 ‘메디큐브(Medicube)’로 대표되는 에이피알(APR)은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K-뷰티의 새로운 신화를 써 내려가고 있다. 에이피알을 이끄는 김병훈 대표는 ‘디지털 감각’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SNS 중심의 브랜드 확산 전략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