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노벨상 석학 애쓰모글루 “韓, AI·재생에너지 전환 교차점… 중대한 역할 기대”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6.18 12:5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국회 탈탄소경제포럼 주최, ‘AI 혁신과 에너지 전환’ 토론회 열려
  • “韓, 지속가능 시스템·민주 거버넌스·기술 생태계 동시 추구할 역량 갖춰”
  • 이재명 정부 과학기술·에너지 정책 비전도 일부 드러나

AI(인공지능) 혁신과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한 토론회가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국회기후위기탈탄소경제포럼과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에너지전환포럼,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는, 급속히 확산하는 AI 산업의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면서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재생에너지 기반의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AKR20220908084351002_06_i_P4.jpg
대런 애쓰모글루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 경제학과 교수 사진=KDI 제공

 

특히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대런 애쓰모글루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 경제학과 교수가 기조연설자로 나서 눈길을 끌었다. 사전 녹화된 강연에서 애쓰모글루 교수는 “AI는 피할 수 없는 미래지만, 우리가 어떤 AI를 선택하느냐는 사회 전체의 결정에 달려 있다”며 “민주적 논의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새로운 방향성을 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현재 미국과 중국의 AI 경쟁은 자동화 중심의 범용 AI(AGI)로 치닫고 있어 에너지 수요 폭증, 노동자 배제, 사회 불평등 심화 등을 초래할 수 있다”며 “반면 노동 생산성을 높이는 노동친화형(Pro-worker) AI 전략은 포용적 성장을 이끌 수 있는 대안”이라고 말했다.


AI와 에너지의 효율적 접목 방안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애쓰모글루 교수는 “특정 산업과 직무에 특화된 ‘도메인 특화형 AI’는 범용 AI보다 에너지 효율이 최대 1,000배 높다”며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정보 기반으로 극복하는 데 중요한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AI와 재생에너지 인프라가 결합하면 에너지 수요 관리와 공급 체계 효율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애쓰모글루 교수는 한국의 역할에 대한 기대감도 내비쳤다. 그는 “한국은 AI와 재생에너지 전환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중대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나라”라며 “민주적 거버넌스, 노동자 중심 전략, 재생에너지 기반 시스템을 아우르는 새로운 AI 모델을 설계해 글로벌 기술 질서 속에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하정우 초대 AI비서관도 참석해 정부의 AI·과학기술·에너지 전환 비전을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AI 시대의 에너지 정책은 기술 혁신뿐 아니라 민주적 통제, 지속가능성 확보가 병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노벨상 석학 애쓰모글루 “韓, AI·재생에너지 전환 교차점… 중대한 역할 기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