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논란…정부 “이상 없다”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07.18 11:3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정부, 강화·한강하구 등 10개 지점 정밀 조사…“우라늄 농도, 2019년 대비 오히려 낮아”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유출된 폐수가 우리 하천과 해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정부가 “방사능 및 중금속 모두 이상 없음”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342.jpg
관계부처 합동 특별 실태조사(‘25.7.4.) 조사 정점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지난 7월 4일 합동 특별 실태조사를 실시한 뒤, “북한 유입 가능성이 있는 하구와 서해 연안 10개 정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방사능과 중금속 모두에서 특이사항이 없었다”고 18일 밝혔다.


정부는 이번 조사에서 ▲강화·김포 등 예성강 하류 인접 6개 정점 ▲한강·임진강 하구 2개 정점 ▲인천 연안 2개 정점에서 해수를 채취해 우라늄 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2019년 동일 정점 대비 낮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추가로 조사한 정점들도 과거 측정치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부는 “2019년에는 특이사항이 없었던 해역으로, 당시보다 오히려 낮은 수치도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방사성 세슘 역시 모든 정점에서 최소검출가능농도(MDA) 미만이거나 최근 5년간 서해에서 측정된 평균 수준보다 낮은 수치로 확인됐다.


정부는 “계측기와 시료량 등을 고려한 검출 한계보다도 낮은 수치로, 방사능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환경정책기본법과 해양환경보전법상 기준치를 적용한 중금속 5종 분석 결과에서도 모든 지점이 ‘불검출’ 또는 ‘기준치 이하’로 확인됐다.


정부는 “정량한계 미만인 경우 ‘불검출’로 표기되며, 실제로 수은, 6가 크롬, 카드뮴 등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국민 우려를 고려해 주요 7개 정점에 대해 월 1회 정기 감시체계를 유지할 방침이다. 아울러 관계부처 협의체를 상시 운영해 북한 지역 오염 가능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국민 건강과 환경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오염 가능성에 대해 철저히 감시하겠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뇌사 장기기증, 5년 만에 최저… 이식 기다림은 길어졌다
  • 휴게소 음식 22건 위반… 도로공사 ‘위생관리 구멍’
  • AI, 석굴암·첨성대 왜곡… “국가 차원 바로잡아야”
  • 깜깜이 ESS 웃돈, 200조 빚더미 한전에 폭탄 추가되는 꼴
  • 해외직구 물품서 방사성 물질 검출… “생활 속 노출 우려”
  • 제주산 말차와 '잠바'의 만남… 시즌 한정 음료 4종 출시
  • ‘부모 찬스 송금’ 3년간 16조원… 증여세 피한 꼼수 의심
  • 바쁜 직장인 위한 ‘3분 커피’… 스타벅스 NOW 브루잉 확대
  • 의사 1명이 ‘91년치 마약류’ 처방… 식약처 “언제부터인지 몰라”
  • 국보도 보험 없다… 목조유산 10곳 중 6곳 ‘무방비’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논란…정부 “이상 없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