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극성’은커녕 자취 감춘 여름 모기…'모기도 휴가갔나'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07.27 15:5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7월 한복판에도 조용한 모기… 서울시 ‘모기활동지수’ 38.9, 예년의 절반 이하
  • 기록적 폭염에 산란 못 하고 증발… 전문가 “가을에 몰려올 수도”

한여름밤, 윙윙거리는 소리로 잠 못 이루게 하던 모기가 올해는 조용하다. 서울 한복판에서조차 모기 한 마리 보기 어려운 이유는 다름 아닌 ‘역대급 폭염’이다.


600d3dce73c15_O.jpg
일러스트=연합뉴스& OGQ

 

서울시가 제공하는 ‘모기예보’에 따르면, 지난 25일 기준 모기 발생지수는 2단계 ‘관심’ 수준에 머물렀다. 이 지수는 ‘쾌적–관심–주의–불쾌’ 4단계로 구분되는데, 예년 같으면 7월 중순에는 ‘주의’나 ‘불쾌’ 단계에 도달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모기활동지수 역시 이례적으로 낮다. 수치가 100일 경우, 야외에서 10분간 서 있기만 해도 5번 이상 모기에 물릴 수 있다는 기준인데, 현재는 38.9에 불과하다. 지난 22일에는 23.1까지 떨어졌고, 7월 10일에는 ‘0’을 기록했다.


모기는 통상 15~30도의 기온에서 활발히 활동한다. 또 장마철의 잦은 비가 알을 낳기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해마다 6월 중순부터 개체 수가 늘기 시작해 8월 중순 정점을 찍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올해는 정반대의 상황이다. 장마는 짧고, 35도를 웃도는 폭염이 장기화하면서 모기들이 번식조차 하지 못한 채 사라졌다. 전문가들은 “6~7월 초반 계속된 고온으로 물웅덩이조차 말라버려 모기가 산란할 수 없었다”고 설명한다. 여기에 짧은 장마, 갑작스러운 집중호우는 모기에게 더욱 불리한 환경을 만들었다.


실제로 지난해 6월 ‘100’까지 치솟았던 모기활동지수는 올해는 한 차례도 그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가장 높았던 날이 6월 28일로, 77.2에 그쳤고, 6월 6일에는 27.4에 머물렀다.


이처럼 모기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에도 방역 요청 민원이 뚝 끊겼다. 시청 관계자들은 “올해는 모기 민원이 거의 없다”며 이례적 반응을 전했다.


그러나 ‘가을 모기’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지난해처럼 7~8월 모기가 사라졌다가 9월 말 이후 기온이 내려가고 고인 물이 늘면서, 늦가을 모기가 기승을 부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지금은 모기 개체 수가 줄었지만, 9월 이후 선선한 기온과 가을 태풍 등으로 모기 서식 환경이 다시 조성될 경우, 오히려 더 많은 모기가 출현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 시속 300km 질주 중 ‘쾅’… 자갈 튀어 고속열차 유리창 663건 파손
  • ‘K-컬처 300조’ 외치지만… 박물관엔 ‘빈 지갑’뿐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 국립박물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전면 지원은 단 3곳
  • 정신질병 산재 사망 승인률 5년 새 절반으로 감소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극성’은커녕 자취 감춘 여름 모기…'모기도 휴가갔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