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중국 어선의 불법어구 설치가 급증했지만, 실제 철거율은 7%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국민의힘·경기 여주‧양평)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발견된 중국어선 불법 범장망은 총 1,652통으로 집계됐다. 2020년 148통, 2021년 28통 수준이던 불법어구는 2022년 537통으로 급증한 뒤 2023년 289통, 지난해 650통으로 최근 5년 새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철거된 불법어구는 115.5통(880톤)에 불과했다. 철거율은 6.99% 수준이다. 해수부는 폐기물 수거선을 동원해 철거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범장망 철거에 적합하지 않은 인양 장비와 낮은 이해도로 인해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범장망 1통은 한 번의 양망에서 1~2톤의 어획물을 잡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어종별 차이가 커 피해액 산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해수부 설명이다.
정부는 지난 5년간 불법어구 철거사업에 총 23억 원을 투입했다. 매년 4억5000만~5억 원의 예산이 집행됐지만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선교 의원은 “급증하는 범장망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철거 장비와 인력을 보강해 수산자원을 보호해야 한다”며 “중국 측에 불법 조업 중단을 강력히 요구하고, 어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도심항공교통(UAM) 도입과 드론 물류 확대를 앞두고, 공항·항만·발전소·가스 시설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이 밀집한 인천 지역에서 불법 드론 대응 체계가 시설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 -
[단독] 삼양 ‘1963 라면’, 정통성 복원 외쳤지만… 팜유·우지 혼합 ‘골든블렌드’ 논란
삼양식품이 브랜드 탄생 61주년을 맞아 '정통성 복원'을 내세우며 출시한 신제품 ‘삼양라면 1963’이 출시 직후 예상치 못한 논란에 마주쳤다. 김정수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식품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지 유탕으로 만든 삼양 1963을 소개하고 있다....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이디야커피가 보이그룹 ‘보이넥스트도어’와 협업해 선보인 콜라보레이션 음료가 출시 직후 높은 관심을 얻고 있다. 이미지=이디야커피 제공 이디야커피는 지난 28일 협업 음료 2종을 출시했다. 일부 매장에서는 개점 직후 음료 구매를 위한 이른 방문이 이어졌고, 음료 구매 시...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위조 서류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은 ‘젊은 건축가상’ 수상자에 대한 조치가 3년 만에야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수상 취소 사유가 법적으로 명백했음에도 문화체육관광부는 사실상 아무 대응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조국...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해양수산부가 예산 3억8천여만원을 들여 개발한 국립등대박물관 전시 안내 앱이 출시 후 사실상 활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금주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국회 문금주 의원(더불어민주당·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
‘수유텀·맘마존·애개육아’… 에코붐 세대, 신(新)육아 트렌드 주도
일러스트=픽사베이 출생아 수가 10년 만에 반등하면서 1990년대생 ‘에코붐 세대’가 육아 시장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루틴(일과)과 공유, 반려문화에 익숙한 이들은 새로운 육아 신조어를 만들며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인구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