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ADHD 치료제 12만명 돌파… “공부 잘하는 약으로 오남용”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22 10:3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최근 5년간 청소년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치료제 처방 환자가 2.6배 급증해 12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수능 응시생의 넷 중 한 명꼴이다. 그러나 관리 체계는 사실상 부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C0A8CA3D000001626540619E00182607.jpg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게티이미지뱅크 제공/연합뉴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대식 의원(국민의힘·부산 사상구)이 2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청소년 ADHD 치료제 처방 환자는 ▲2020년 4만7266명에서 ▲2024년 12만2906명으로 급증했다. 올해 수능 응시생(52만2670명) 대비 약 23.5%에 해당하는 수치다.


연도별로는 2021년 5만5491명, 2022년 7만2590명, 2023년 9만6716명 등 매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학생이 2020년 3만7824명에서 2024년 8만9258명으로 136% 늘었고, 여학생은 같은 기간 9442명에서 3만3648명으로 256% 증가해 남학생보다 두 배 가까이 빠른 증가율을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10~14세 환자가 가장 많았으나, 15~19세 집단은 177% 급증하며 고등학생 단계에서의 사용 확산이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는 경기도(3만3234명)와 서울(3만2653명)이 가장 많았고, 부산(1만2339명), 경남(5308명)이 뒤를 이었다. 특히 세종(354%), 전남(206%), 충북(202%) 등은 전국 평균 증가율(160%)을 크게 웃돌았다.


김 의원은 “ADHD 치료제는 꼭 필요한 환자에게는 필수적 약물이지만, ‘공부 잘하는 약’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퍼지며 오남용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교육청과 보건당국 간 관리 체계가 사실상 부재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세종시의 사교육비 지출 급등 문제를 이미 지적했는데, ADHD 치료제 사용 증가 역시 전국 최고 수준에 달하고 있다”며 “청소년 환자의 복용 관리, 부작용 모니터링, 교사·학부모 대상 교육까지 종합적인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국정감사에서 ADHD 치료제 오남용에 대한 교육부의 대응을 따져 묻고, 입법을 통해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는 법적·제도적 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 넷마블·콩스튜디오 맞손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청소년 ADHD 치료제 12만명 돌파… “공부 잘하는 약으로 오남용”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