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자산 활용 등 수법 진화… 범정부 공조로 관리·감독 강화해야”

최근 6년간 적발된 불법 외환거래 규모가 13조2000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환치기’가 전체의 78%를 차지해, 불법 외환거래의 주된 수단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분석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부산 북구을)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적발된 불법 외환거래는 총 939건, 금액으로는 13조2424억 원에 달했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7189억 원(130건)에서 2021년 1조3495억 원(110건)으로 증가했고, 2022년에는 6조3346억 원(129건)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23년 1조8062억 원(184건), 2024년 2조2257억 원(277건)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6월 기준)에도 이미 8075억 원(109건)이 적발돼, 연말에는 지난해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불법 외환거래 가운데 ‘환치기’가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다. 전체 적발금액 13조 원 중 10조3285억 원이 환치기 관련으로, 전체의 78%에 달했다. ‘환치기’는 외국과 국내 간 외환 거래를 불법적으로 중개하거나, 해외 자금 이동을 국내 거래로 위장하는 행위를 말한다. 최근에는 가상자산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환치기 수법이 등장하는 등 수법도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
환치기 적발액은 2020년 1173억 원에서 2022년 5조2399억 원으로 폭증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6237억 원이 적발돼, 여전히 2020년 대비 5배 이상 높은 수준을 기록 중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최근 불법 외환거래는 점점 더 지능화되는 추세다. 중국 현지에서 자금을 받고 국내 지정 계좌로 송금하거나 현금으로 전달하는 환치기를 비롯해 ▲가상자산 구매 목적으로 외화를 은닉해 신고 없이 반출하는 불법 휴대 반출입, ▲해외 계좌를 통한 미신고 자본거래, ▲수입가격 조작을 통한 재산 도피, ▲수출가격 저가 신고 후 차액 현금화 등 다양한 수법이 동원되고 있다.
박성훈 의원은 “불법 외환거래는 조세 정의를 훼손하고 범죄자금의 해외 유출을 조장하는 중대한 범죄”라며 “세정당국과 금융당국이 긴밀히 협조해 범정부 차원의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